한화오션, 북미 시장 진출 가속도 붙인다
한화필리십야드와 LNGC 건조 계약
공동 건조 기술 이양·사업 영역 확장
한화오션이 북미 상선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지난해 미국 현지화를 인수한 필리조선소를 발판 삼아 기술 경쟁력과 공급 주도권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2029년 미국산 LNG 운반선 의무화 정책 시행을 앞두고 신의 한 수가 될지 주목된다.
한화오션은 계열사인 한화필리십야드(Hanwha Philly Shipyard)와 3480억 원 규모 LNG운반선 1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하고 추가 1척에 대한 옵션 계약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한화필리십야드가 한화오션의 또 다른 계열사인 한화해운(Hanwha Shipping)이 발주하는 LNG 운반선을 수주한 뒤 한화오션에 하청을 주는 방식이다.
이번 발주는 한화오션 일감 확보, 한화필리십야드 기술력 획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 미국 시장 진출을 앞당기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다.
이를 위해 한화오션과 한화필리십야드 공동 건조 모델로 진행한다.
주요 건조 공정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진행하고, 한화필리십야드는 미국 해양경비대(USCG, United States Coast Guard)의 미국 법령과 해양안전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인증작업 등을 지원한다.
미국 선박으로 등록해야 할 경우 USCG 기준 충족과 인증작업이 필수인데, 관련 경험이 풍부한 한화필리십야드가 이를 주도하는 것이다.
한화필리십야드는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이 미국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을 위해 총 1억 달러, 우리 돈 1380억 원 상당을 투자해 지분 100%를 인수한 현지 조선소다.
이후 스마트 시스템 도입, 인력 재훈련, 기술이전 등을 통해 생산역량 강화를 추진해 왔다.
이번 공동 건조를 통해 한화오션이 보유한 고도화된 조선 기술이 이양되면 한화필리십야드도 고부가 선박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제 한화오션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 운반선을 건조한 조선사다.
관련 시장 점유율이 60%에 육박할 정도다.
반면 미국 시장은 자국산 우선 원칙 탓에 그동안 공약이 불가능했다.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가 북미 LNG 운반선 시장에서 독보적 기술력과 공급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미국 연방정부가 2029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할 미국산 LNG 운반선을 활용한 미국산 LNG 수출 운송 의무화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한화필리십야드는 미국에서 존스법(Jones Act) 대상 대형 상업용 선박의 절반 이상을 건조해 온 중추적인 조선소”라며 “이번 프로젝트는 기술적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화해운은 향후 발주할 선박에 친환경 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해 실증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는 목표다.
그룹 내 관련 수요 대응 외에도 고비용·고위험·고난도 기술 도입에 부담을 느끼는 기존 선주들을 대신해 친환경 기술 실증과 시장 확산이라는 단계별 전략을 실현해 내는 역할을 충실히 실행하기로 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