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억 어디서 구하나” 부산오페라하우스 발등의 불
BPA 500억 분담 답보 상태에
총사업비 대폭 증가 ‘설상가상’
해양수도 부산 공약 상징 시설
정부가 국비 지원 적극 나서야
내년 말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인 부산오페라하우스 건립 공사에서 재원 확보 방안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부산항만공사(BPA)가 약속한 사업비 분담 문제가 수년째 답보 중인 데다 설상가상 총사업비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부산시는 오페라하우스가 정부의 핵심 공약인 해양수도 부산의 상징이자 국가 재산으로 귀속될 시설인 만큼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22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부산오페라하우스 건립 공사 총사업비가 현재 3117억 원에서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고 조정 규모를 막바지 검토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현재 기준에서 800억 원 안팎이 증액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르면 이달 말 확정된다.
부산오페라하우스 총사업비는 롯데그룹이 오페라하우스 건립을 위해 기부한 기금 1000억 원을 포함해 최초 2500억 원으로 출발했고, 2021년 지금 수준으로 조정됐다. 총사업비 3117억 원은 공사비 2818억 원과 설계 등 기타 비용 299억 원을 더한 금액이다.
건립 공사의 현재 공정률은 63%로, 2026년 12월 준공 일정을 기준으로 할 때 계획 대비 99.7% 수준의 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시공사는 가장 고난도 공정인 비정형 파사드(전면) 구조체 설치를 이르면 다음 달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공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총 사업비 가운데 준공 연도인 내년에 마지막 831억 원을 집행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800억 원가량 사업비가 추가될 경우 시가 마련해야 하는 재원은 1600억 원대로 불어난다.
시는 사업비 증가 원인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공연장을 위한 시설 개선과 건설, 소방, 전기 등 부문의 물가 상승분 반영을 들었다. 부산오페라하우스는 2018년 5월 첫 삽을 떴지만, 파사드 공법 논란으로 공사 중단과 재설계를 겪으면서 공사 기간이 4년 넘게 늘어났다. 이 과정에서 음향 전문가 자문 결과 대극장 마감재를 탄화대나무에서 참나무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2017년 설계가 완료된 무대 장치와 조명은 구형이 되거나 단종돼 최신 사양으로 바꿀 필요도 있었다. 자재 비용 등 물가 상승폭도 컸다.
이런 상황에서 BPA가 지원을 약속한 500억 원은 더욱 절실해졌다. 시는 2018년 11월 BPA가 협약을 통해 오페라하우스 건립 예산을 분담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해양수산부는 BPA의 500억 원 분담 내용을 담아 북항재개발사업계획변경(안)을 제출했지만, 2019년 10월 기획재정부가 오페라하우스 건립은 부산시 사업이라는 이유로 수용을 거부하면서 논의가 중단됐다. 이후 시는 최근까지도 BPA와 해수부 등을 방문해 국비 지원을 협의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2018년 협약 당시 분담금을 명시한 문서가 없는 데다 관련 법령 해석에도 입장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시는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해수부 부산 이전을 추진 중인 만큼 조만간 새 장관이 임명되는 대로 내년 예산에서 반드시 국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요청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부산오페라하우스는 해양수도 부산 공약의 상징이 될 수 있고, 특히 해수부 부지를 무상 사용해 짓는 대신 최대 40년 무상 임대 기간이 끝나면 국가에 기부채납하기로 한 시설”이라며 “정부도 책임을 갖고 결단을 내려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