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강준욱은 사퇴했는데 버티는 강선우… 역시 현역불패?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청문회 후에도 ‘갑질’ 추가 폭로 이어져
대통령실은 논란에도 임명 강행 수순
여당에선 “보좌진은 동지·식구” 목소리
야당, “도 넘은 제 식구 감싸기” 맹비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의 집권 초반 인사를 둘러싸고 잡음이 이어지면서,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 철회에 이어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도 자진 사퇴했다. 청문회 후에도 ‘갑질 논란’ 여진이 이어지고 있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에 대해선 대통령실이 임명 수순을 밟고 있어 야당은 물론 여권 내에서도 후폭풍이 거세다.

‘비상계엄 옹호’ 논란 등에 휩싸인 강 비서관이 22일 결국 자진 사퇴했다. 논란이 불거진 지 이틀 만이다. 강 비서관은 이날 오전 자진해서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를 수용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강 대변인은 “국민통합비서관은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국민도 넓게 포용하겠다는 대통령의 강한 의지에 따라 보수계 인사의 추천을 거쳐 임명했지만 국민주권정부의 국정 철학과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강하게 제기됐다”며 “이에 강 비서관은 자진 사퇴를 통해 자신의 과오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를 국민께 전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대통령은 이를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인 정청래와 박찬대 의원이 일제히 “스스로 물러나라”고 목소리를 내는 등 여권의 반발이 잇따르자 부담을 느끼고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보좌진 대상 갑질 논란이 인 강 후보자를 둘러싸고 장관 대상 예산 갑질 주장 등 추가 폭로가 잇따랐지만 대통령실은 이날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를 강행하며 임명 수순에 들어갔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강 후보자를 포함해 안규백 국방부 장관,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등의 인사청문 보고서 재송부를 24일까지 국회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강 후보자의 대통령실의 임명 강행 행보와 여당의 엄호태세를 두고 야당은 “대통령실의 임명 강행 입장 발표에 이어 열 맞춰 강선우 감싸기에 나서는 민주당의 두둔과 변명 수준이 가관”이라며 날을 세웠다. 국민의힘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정부·여당은 더 이상 제 식구 감싸기로 국민 상식에 도전하지 말고 강 후보자 임명을 지금이라도 즉각 철회하라”며 이같이 밝혔다.

곽 수석대변인은 “김현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갑질은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라 밝혔고, 문진석 원내수석은 ‘알코올 중독자를 임명한 링컨의 결단’에 비유했다”며 “보좌진에게 집 쓰레기 버리게 하고, 변기 수리시키는 것이 주관적 문제라는 원내지도부 수준이 처참하다. 갑질 가해자를 알코올 중독자와 동급으로 취급하는 것부터가 비정상적 사고”라고 일갈했다. 이어 “‘본체가 갑질 그 자체’인 사람을 정상인 만들려는 시도가 참으로 기가 막힐 노릇”이라며 “맨정신으로 이런 말을 공개적으로 내뱉어야 했던 김 대변인, 문 수석마저 지금은 자괴감을 느끼고 계시지 않을까 심히 염려될 정도”라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강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보좌진과 의원 관계에 있어서 갑질은 성격이 좀 다르다”며 “보좌진과 의원은 동지적 관점, 식구 같은 개념도 있다”고 두둔했다. 그러면서 문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의정활동이라는 게 의원 개인의 일이냐, 아니면 공적인 일이냐, 이걸 나누는 게 굉장히 애매하다”며 “너무 가까운 사이이다 보니 국회의원들도 가끔 사적인 심부름은 거리낌 없이 시키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후보자를 둘러싼 보좌관 갑질 논란이 커지면서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원과 보좌진 관계에 대한 논의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보좌진을 사실상 ‘예비 정치인’으로 보고, 의원과 공적·사적 경계가 모호한 ‘동지적 관계’를 유지하며 일상적으로 선을 넘는 경우가 잦았던 관행이 이번 사태를 통해 드러났다는 것이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