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번째 항해 나서는 BIFF 새 도약 꿈꿔요
부산, 세계 영화도시로 ‘우뚝’
향후 30년 과제와 변화 모색
서른 번째 영화의 바다가 열린다. 1996년 출범한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오는 17일 서른 번째 돛을 올린다.
‘아시아 영화의 창’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첫 항해에 나선 BIFF는 세계 영화의 변방이었던 한국을 아시아 영화의 강국으로 성장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부산은 전 세계인이 부러워하는 영화 도시로 발돋움했다. 30년간 영화제의 규모 확장과 함께 질적 발전도 이뤄냈다. 1회 때의 6개 상영관은 전용관 ‘영화의전당’을 포함해 30여 개로 늘었고, 초청 상영작은 70개국 300여 편에 이를 만큼 성장했다.
BIFF는 올해 경쟁 부문을 신설하며 영화제의 권위를 한층 높인다. 거장부터 신예까지 아시아의 대표작을 선정해 5개 부문에 대해 ‘부산 어워드’를 수여한다. 올해는 14편이 첫 수상의 영예를 놓고 다툰다.
이런 분위기와 달리 현재 우리나라의 영화시장은 암울하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지난 7월 발표한 올해 상반기 영화산업 결산에 따르면 극장 매출액은 지난해에 비해 3분의 2로 쪼그라든 4077억 원에 불과하다. 20년 전인 2005년의 3404억 원 이후 가장 적은 액수다.
영화제의 지속성에 대한 전망도 불투명하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동영상서비스인 OTT가 일상화되면서 대규모 관객을 불러 모으는 형식의 영화제 효능에 대한 의문이 늘고 있다.
BIFF 역시 이런 흐름에서 비껴나 있지 않다. 다가올 30년의 항해가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에 〈부산일보〉는 새로운 모험에 나서는 BIFF의 향후 30년을 모색하는 시리즈를 시작한다.
김희돈 기자 happyi@busan.com ,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