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된 사과하라” 형제복지원·덕성원 피해자, 광안대교서 고공 농성(2보)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진상규명만으론 부족” 공개 1인 시위
부산시 침묵 비판… 특별법 제정 촉구
시·경찰 관계자들, 설득 작업 계속 중

11일 오전 11시께 형제복지원 피해 생존자 최승우 (57) 씨가 광안대교 상판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독자 제공 11일 오전 11시께 형제복지원 피해 생존자 최승우 (57) 씨가 광안대교 상판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독자 제공

11일 오전 형제복지원 피해자 최승우(57) 씨가 광안대교 상판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해운대경찰서 제공 11일 오전 형제복지원 피해자 최승우(57) 씨가 광안대교 상판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해운대경찰서 제공

과거 부산 지역 아동보호시설에서 인권유린을 겪은 피해자들이 11일 광안대교에 올라 고공농성 시위를 벌여 부산시와 경찰이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11일 경찰 등에 따르면 형제복지원 피해자 최승우(57) 씨와 덕성원피해자생존자협의회 안종환(48) 대표는 이날 오전부터 광안대교 교각과 상판 난간에 각각 올라 시위를 벌이고 있다.

최 씨는 이날 오전 11시께 광안대교 상판 교각에 올랐다. 정부와 부산시가 형제복지원 사건과 관련해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는 2심 법원의 판단에 상고한 것에 불만을 품고 1인 시위에 나섰다. 최 씨는 “국가 폭력과 강제수용시설로 부모를 잃은 전국의 수많은 피해자들을 위해 특별법을 하루빨리 제정하라”고 주장했다.

덕성원 피해자인 안 씨는 낮 12시께 현장에 도착해 연대에 나섰다. 그는 “수십 년이 지나서야 피해가 공식으로 확인됐지만, 정부와 부산시는 제대로 된 사과도 없이 침묵하고 있다”며 “덕성원 설립자의 자녀들이 운영하는 요양병원을 국가가 환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장에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소방구급대와 경찰이 출동해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경찰과 부산시 관계자들은 이들이 농성을 중단할 때까지 설득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형제복지원 사건은 1960년 7월 20일 형제육아원 설립부터 1992년 8월 20일 정신요양원 폐쇄까지 경찰 등 공권력이 부랑인으로 지목된 사람들을 민간 사회복지법인이 운영하는 형제복지원에 강제수용한 사건이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위(진화위)는 2022년 8월 형제복지원 사건을 국가의 부당한 공권력 행사에 의한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으로 공식 인정했다.

덕성원은 1970∼1980년대 인권 유린이 자행된 부산의 아동보호시설이다. 최근 진화위는 덕성원 수용자에 대한 강제노역이 이뤄졌으며, 원생들이 무차별적인 폭행과 성폭력에 노출됐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