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2차 공공기관 이전… 2027년에는 추진 가능”
공공기관 2차 이전…올해 전수조사·실무 특위 논의
김경수 “이 대통령 공공기관 이전 속도 강조, 속도 낼 것”
부울경 ‘부산 빨대론’ 대해선 부울경 권역 동반 성장 강조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이 지난달 28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에서 열린 국제청년포럼 파이널 콘퍼런스 오픈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이 2027년까지는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겠다는 로드맵을 밝혔다.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된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이 대통령 추진 의지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대통령실 지역기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공공기관 2차 이전 추진 상황에 대해 “현재 국토부에서 전수조사를 하고 있고, 지방시대위원회에서도 실무 특위를 만들어 논의 중”이라면서 “1차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작업을 통해 2차 공공기관 이전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속도는 대통령께서도 계속 강조하고 있어서 가능한 한 최대한 빨리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의 구체적인 로드맵에 대해서는 올해 전수조사를 마치고 내년에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워 2027년에는 추진이 가능하게 하겠다고 계획을 내놨다.
국가 균형 발전에 대한 이 대통령의 의지도 재차 부각했다. 김 위원장은 “이전 정부에 비해 (국가 균형 발전에 대한) 대통령님의 요구 사항이 많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5극 3특’의 3개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5극’ ‘3특’ 각각의 전략사업과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포함한 인재 양성 정책, 규제 완화 및 재정 지원 등 산업 발전 5종 패키지를 들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지역에 기업이 투자하는데 필요한 건 뭐든지 지원해 주겠다는 것”이라면서 “권역별로 경제권을 만들어 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 외 부산의 해양수산부 이전 약속에 비해 울산과 경남의 ‘선물 공약’이 다소 소홀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해수부와 공공기관은 부산으로 이전하지만, 그와 연계한 해양 산업은 부울경이 함께 구축하는 걸로 돼 있다”며 “권역별로 역할을 분담하고 생태계를 공동으로 만드는 문제”라고 일축했다. 서부경남의 우주항공 산업이 커지면 울산 UNIST, 부산대 공대, 경상대 등에서 인력 양성이 활발해지는 사례처럼 권역별로 키운 전략산업을 통해 권역 전역이 그 효과를 나눌 수 있다는 의미다.
지역언론의 역할과 기능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전임 정부에 의해 죽은 자치나 풀뿌리 민주주의를 살려 나가는데 지역언론이 함께 살지 않으면 제대로 살릴 수가 없다”며 “지역언론은 주민자치와 풀뿌리 민주주의 플랫폼이다. 지역언론이 살아나야 대통령께서 생존전략이라고 말씀하시는 대한민국의 국가균형성장과 자치분권의 길을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내년 지방선거 경남지사 출마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출마를 전제로 한 행보는 아무 것도 없다”며 “오히려 경남보다 호남 등 다른 지역에 가는 횟수가 훨씬 많다”고 말했다. 이어 “어떻게 하면 성공하는 정책이 될 수 있을지 올인하고 있다”면서도 “내년에 지역이나 당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 묻는다면 당인으로서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여지를 남겼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