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울산 동서발전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철제 구조물 얽혀 구조 난항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후 6시 현재 2명 구조·2명 발견
실종된 5명 여전히 잔해 속 수색 중
“60m 철골 엿가락처럼 얽혀” 난항
기후부 주도 중앙사고수습본부 가동
노동부, 중재법 강제 수사 방침 밝혀

6일 오후 2시 29분 촬영된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 현장. 보일러 건물로 추정되는 구조물이 엄청난 굉음과 함께 무너져 내려 거대한 철골 더미로 변해있다. 현장에는 관계자들이 나와 사고 현장을 수습 중이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6일 오후 2시 29분 촬영된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 현장. 보일러 건물로 추정되는 구조물이 엄청난 굉음과 함께 무너져 내려 거대한 철골 더미로 변해있다. 현장에는 관계자들이 나와 사고 현장을 수습 중이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6일 오후 2시 2분 울산시 남구 용잠동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해체 작업 중이던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내리면서 근로자 9명이 매몰되는 참사가 벌어졌다.

오후 6시 현재 소방당국이 매몰된 9명 중 2명을 현장에서 구조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추가로 2명이 타워 잔해에 낀 상태로 발견돼 구조가 행 중이지만 나머지 5명은 생사나 매몰 지점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를 당한 9명은 모두 발파 철거 전문업체인 ‘코리아카코’ 소속이다. 1명은 정직원이고 나머지 8명은 계약직 형태의 근로자다.

사고 당시 이들 작업자는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 25m 지점에서 취약화 작업을 하다 참변을 당했다. 이 작업은 오는 16일 본 발파를 앞두고 구조물이 의도래도 잘 무너지도록 기둥을 미리 잘라내는 공정이다. 울산 중부소방서 관계자는 현장 브리핑에서 “(취약화 작업은) 사이사이에 끼어있는 기둥들을 잘라내는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파에 앞서 핵심 기둥을 절단하다 예상과 달리 구조물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진 것으로 추정된다.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2명이 구조되고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은 사고 현장. 연합뉴스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2명이 구조되고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은 사고 현장. 연합뉴스

붕괴된 보일러 타워는 1979년 착공해 1981년 준공한 노후 시설이다. 과거 벙커시유를 연료로 스팀을 만들어 터빈을 돌리던 발전 시설이었다. 2021년부터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소방당국은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고 700t급 크레인까지 투입하며 총력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60m 높이의 철골 구조물이 엿가락처럼 얽혀 있어 구조에 난항을 겪고 있다.

소방 관계자는 “철제 구조물을 잘라가며 수색해야 해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특히 크레인이 현장에서 안전하게 구조 작업을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춰야 해 실제 구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사고를 보고받은 이재명 대통령은 사고 수습, 특히 인명 구조에 장비·인력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발전시설 소관 부처인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중심으로 행정안전부, 노동부와 함께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꾸렸다. 본부장을 맡은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발전사 등에 유사 작업 현장 긴급 안전 점검을 지시했다.

현장에 급파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재해자 구조작업 후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를 적극 추진해 철저히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이번 사고 조사과정에서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을 위반한 부분이 있는지 엄정 수사할 예정이다. 경찰 역시 전담 수사팀을 구성해 취약화 작업 공정 전반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를 조사하게 된다.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