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미 재무와 관세 협상 논의… 쟁점은 '통화 스와프'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 대통령, 베선트 접견해 통화스와프 등 논의
"한국 경제규모·외환시장, 日과 달라"
베선트 "트럼프 '한국 중요 파트너' 강조"


이재명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대한민국대표부에서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대한민국대표부에서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 연합뉴스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만나 한미 관세 협상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무역을 통한 양국 이익을 언급하며 한미 간 ‘통화 스와프’ 체결 필요성을 내세웠다. 미국이 한국의 통화 스와프 체결에 응답하지 않는 반면, 보수 정권의 아르헨티나엔 200억 달러(28조 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한민국 유엔대표부에서 베선트 장관을 만났다. 이 대통령이 베선트 장관을 만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 대통령이 이 자리에서 “한미 관계는 동맹으로서 매우 중요하며, 안보뿐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양국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동맹의 유지와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안보 측면이 (협의가) 잘 진행되고 있는데, 통상 분야에서도 좋은 협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상업적 합리성을 강조하며 통화 스와프 체결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와 관련 “상업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과 일본의 합의가 있었지만, 한국은 경제 규모나 외환시장 인프라 등에서 일본과 다르다”며 “이런 측면을 고려해 협상이 잘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가 최근 외환시장 충격 완화를 위한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체결을 요청한 상황 속, 이 대통령이 체결을 재차 강조한 셈이다.

베선트 장관은 통화 스와프에 대한 직접 언급은 하지 않았다. 다만 미 유관 부처와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의 조선 분야 투자 협력에 감사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이 핵심 분야로 강조하는 조선 분야에서 한국의 투자 협력이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인 지원에 감사하고 있다”며 “통상 협상과 관련, 무역 분야에서 많은 진전이 있는 것으로 안다. 투자 협력 분야에서도 이 대통령의 말을 충분히 경청했고 이후 내부에서도 충분히 논의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의 통화 스와프 체결 요청에 묵묵부답인 가운데, 아르헨티나와는 200억 달러(약 28조 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정상 간 친분이 두터운 아르헨티나에는 먼저 지원 의사를 내비친 것이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SNS에 “재무부는 중앙은행과 함께 아르헨티나와 200억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아르헨티나 정부 측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3년 말 취임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취임 직후 좌파 진영을 비판하는 등 미국 보수 진영의 환심을 산 바 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