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센텀2지구 조성 사업 공동 시행자로 나선다
부산도시공사와 공동 사업 시행
본보 보도 후 적극 검토 후 반영
지분 투자 대신 정책·제도적 지원
속보=부산시가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이하 센텀2지구) 조성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앵커 기업 유치를 위한 부산도시공사의 참여 요청을 시가 외면했다는 지적(부산일보 7월 1일 자 3면 보도)에 시가 전향적인 자세로 나선 것이다.
29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부산도시공사와 함께 센텀2지구 조성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참여할 방침이다. 따로 지분 투자는 하지 않는 대신 기업 유치 등 정책·제도적 지원을 위한 각종 행정 업무를 함께 보겠다는 것이다. 시와 도시공사는 공동 시행자 참여를 위한 구체적 방식과 일정 등을 조율하고 있다.
도시공사는 지난 5월 시에 ‘센텀2지구 도심융합특구 공동 사업 시행자 지정 관련 협조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냈다. 도시공사만 단독 시행자로 돼 있는 센텀2지구 사업에 시가 공동 시행자로 참여하면 도시공사 차원에서 약속할 수 없는 각종 입주 혜택과 행정적 지원, 정책적 판단 등이 원활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는 “7~8년 전 센텀2지구 내 그린벨트가 해제될 당시 도시공사를 단독 시행자로 하기로 합의를 봤는데, 다른 제반 사항 변경 없이 앞선 결정을 뒤집기 어렵다”며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이에 시의 기업 유치 의지를 꼬집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센텀2지구가 롤모델로 삼고 있는 제2판교 테크노밸리의 경우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가 공동 사업 시행자로 나서며 의지를 드러낸 전례가 있어 대비를 이뤘다.
부산의 한 투자 전문가는 “시가 늘상 해 왔던 서부산권 전통 산단 조성 방식으로 센텀2지구의 판을 짜려한다면 성공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앵커 기업 유치를 위해서는 ‘특혜’에 가까운 인센티브를 줘야 수도권 기업들이 고민이라도 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김미애(해운대을) 의원은 “시가 공동 시행자로 직접 참여해 책임 있게 기획하고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하는 사업이다. 단순한 행정 지원만으로는 신뢰할 수 있는 추진 체계를 만들 수 없다”며 “시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 부산 산업 도약 성공 모델을 완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후 시는 전향적으로 사업 공동 시행자 참여를 결정했다. 부산시 김봉철 디지털경제실장은 “센텀2지구 내 풍산 공장 이전과는 별개로 시 차원에서 앵커 기업 유치를 위한 물밑 작업을 분주히 추진해왔다”며 “부산이 가진 매력과 센텀2지구의 입지적 장점 등을 높이 평가하는 대기업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