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순방 마치고 귀국…연말 민생 경제 안정화에 집중
이 대통령 7박 10일 순방 마치고 26일 귀국
당분간 국내 현안 문제에 집중 전망
연말 물가 안정과 개혁 과제 점검 등 산적
관세 협상 후속 조치와 청와대 이전 과제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아프리카·중동 4개국 순방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6일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 공군 1호기에서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7박 10일간의 중동·아프리카 순방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끝으로 올해 다자 정상외교 일정이 막을 내리면서 이 대통령은 당분간 민생 경제 현안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오전 서울공항에 김민석 국무총리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과 박윤주 외교부 1차관 등이 이 대통령 부부를 마중 나왔다. 이 대통령은 전용기에서 나와 환영인사단에 허리를 숙여 인사한 뒤 트랩을 내려와 환한 얼굴로 한 명씩 악수했고, 환영인사단도 "고생하셨다"며 반겼다.
이 대통령은 순방 기간 아랍에미리트(UAE)와 이집트, 튀르키예를 방문해 정상회담을 하고 방산·원전·문화·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이집트 카이로대 연설에서 한국 정부의 대 중동 구상인 '샤인(SHINE) 이니셔티브'를 발표했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주요 G20 정상회의에도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에 참석해 포용적 성장, 핵심광물 공급망, AI 기반 디지털 포용 등을 주제로 연설하기도 했다. 여기에 프랑스·독일·일본 정상과의 회담도 잇달아 진행됐다.
이번 G20 정상회의는 올해 마지막 다자 정상외교 무대로 꼽힌다. 이에 이 대통령은 귀국 후 당분간 규제 혁신과 물가 안정, 검찰·사법 개혁 등 국내 문제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 관세 협상의 후속 조치가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살피면서 12월 중 전망되는 용산 대통령실의 청와대 이전 과제도 남아있다. 청와대 복귀 비용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드는 데다, 일각의 비판적 시각이 존재하는 만큼 완전한 청와대 이전 시기와 이 대통령의 관련 메시지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한편, 대통령실과 정부 부처는 이 대통령의 이번 순방 성과를 완성시키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튀르키예 차기 원전 건설, 이집트 카이로 공항 확장 등 정상회담에서 거론된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를 한국의 국익으로 연결하기 위해 국내 기업과 긴밀히 협의하며 수주전을 측면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UAE와 합의한 방위산업 공동개발·현지생산의 구체적 모델을 만들고 실제 계약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본격적인 실무 협상에도 나서야 한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