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조 CPSP 수주전 본격화…한화오션 한 발 앞서가나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건조 프로젝트
지나달 30일 마크 카니 총리에 이어
24일 멜라니 졸리 산업부 장관 방문

케나다 산업부 멜라니 졸리 장관 일행이 2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았다. 장관 일행은 최근 진수된 ‘장영실함’ 내부를 돌아보며 CPSP 제안 모델인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생산 역량을 검증했다. 한화오션 제공 케나다 산업부 멜라니 졸리 장관 일행이 2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았다. 장관 일행은 최근 진수된 ‘장영실함’ 내부를 돌아보며 CPSP 제안 모델인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생산 역량을 검증했다.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이 60조 원 규모 캐나다 차세대 잠수함 건조 프로젝트(CPSP)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

최근 한 달 사이 이번 수주전 결정권자와 실무 최고 책임자가 연거푸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았다.

독일 티센크루프 마린시스템즈(TKMS)와의 각축전에서 우위를 점하는 긍정적인 신호라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한화오션에 따르면 캐나다 산업부(ISED) 멜라니 졸리(Mélanie Joly) 장관이 이날 거제사업장을 다녀갔다.

지난달 30일 마크 카니(Mark Carney) 총리에 이은 캐나다 정부 주요 인사 방문이다.

졸리 장관은 애초 카니 총리와 동행하려 했지만 일정이 엇갈려 무산되자 이날 따로 시간을 냈다.

장관 일행은 최근 진수된 ‘장영실함’ 내부를 돌아보며 CPSP 제안 모델인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검증했다.

특히 이들은 동일 모델 여러척이 동시 건조 중인 현장을 돌아보며 경쟁사를 압도하는 생산 역량에 엄지를 추켜세웠다.

캐나다 산업부는 국가 산업 전략, 공급망 강화, 기술·혁신 투자, 지역 일자리 창출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로 카니 정부의 경제안보중심 정책을 담당한다.

CPSP가 단순한 무장 확대를 넘어 자국의 산업, 공급망 구축, 경제 안보 전략을 구현하는 핵심 산업 정책 사업으로 재정의 되는 상황에 사업 제안 단계에서 현지 사업장을 찾은 건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는 분석이다.

케나다 산업부 멜라니 졸리 장관 일행이 2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았다. 장관 일행은 최근 진수된 ‘장영실함’ 내부를 돌아보며 CPSP 제안 모델인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생산 역량을 검증했다. 한화오션 제공 케나다 산업부 멜라니 졸리 장관 일행이 2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았다. 장관 일행은 최근 진수된 ‘장영실함’ 내부를 돌아보며 CPSP 제안 모델인 ‘장보고-III 배치-II’ 잠수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생산 역량을 검증했다. 한화오션 제공

총리 방문이 양국 간 안보 협력 강화를 상징하는 정치적 신뢰 구축의 장이었다면 장관의 방문은 CPSP가 산업·기술·경제적 타당성을 심층 검토하는 단계에 들어섰음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캐나다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의 주요 평가 기준으로 잠수함 성능과 함께 자국 내 유지보수 역량 강화, 경제적 혜택 등도 두로 살피고 있다.

잠수함 도입을 캐나다에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의미다.

이에 한화오션은 지난 카니 총리 방문 때 장보고-Ⅲ 배치-Ⅱ 잠수함 성능과 납기 역량뿐만 아니라, 한화그룹 차원의 광범위한 경제·산업 협력 구상도 제시했다.

무엇보다 방위 협력·우주·지속가능 에너지·핵심 광물 분야에서 캐나다 정부, 산업계와의 장기적인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의지를 명확하게 전달했다.

한화오션 김희철 대표는 “장관 방문은 CPSP 사업이 본격적인 경쟁 단계로 진입했음을 의미한다”면서 “캐나다 해군의 작전 요구조건을 충족할 최적의 솔루션과 함께 현지 산업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신뢰의 파트너임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CPSP는 1998년 영국 해군으로부터 도입한 2400t 빅토리아급 잠수함 4척을 대체하기 위해 3000t급 최신 잠수함 12척을 도입하는 사업이다.

한화오션을 비롯해 프랑스 나발 그룹(Naval Group), 스페인 나반티아(Navantia), 스웨덴 사브(Saab), 독일 티센크루프 마린시스템즈(TKMS) 등 유럽의 대표 방산업체들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 중 한화오션과 TKMS가 결승 티켓을 거머쥐었다.

한화오션은 이번 사업에 현존 디젤 추진 잠수함 가운데 최강의 작전 성능을 가진 3000t급 ‘장보고-III 배치-II’를 제안했다.

이 잠수함은 공기가 필요 없는 ‘공기불요추진장치(AIP)’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해 3주 이상 수중 작전이 가능하고 최대 7000해리(약 1만 2900km)를 운항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태평양은 물론 대서양, 북극해에 이르기까지 광대한 영역에서 운용할 수 있어 캐나다 해군 작전환경에 최적화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기에 탄도미사일(SLBM) 발사가 가능한 수직 발사관을 보유하는 등 비대칭 억제 전략을 펼칠 역량도 갖췄다.

22일 경남 거제 한화오션에서 열린 장영실함(장보고-Ⅲ, Batch-Ⅱ 1번 함) 진수식에서 공개된 함정의 모습. 3천600t급 장영실함은 수중작전 지속 일수가 기존함보다 향상됐고, 세계 최고 수준의 디젤 잠수함이다. 연합뉴스 22일 경남 거제 한화오션에서 열린 장영실함(장보고-Ⅲ, Batch-Ⅱ 1번 함) 진수식에서 공개된 함정의 모습. 3천600t급 장영실함은 수중작전 지속 일수가 기존함보다 향상됐고, 세계 최고 수준의 디젤 잠수함이다. 연합뉴스

한화오션은 빠른 납기 능력과 함께 검증된 잠수함 솔루션을 통해 캐나다 해군의 모든 작전 운용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자신한다.

이미 운용 중인 잠수함에서 축적된 신뢰성 높은 운용·정비 데이터와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는 체계적 지원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를 통해 캐나다 잠수함 운용·유지·보수 역량 구축과 산업협력 확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솔루션임을 강조하고 있다.

한화오션이 CPSP를 수주하면 세계 방산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보이는 독일을 상대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게 된다.

무엇보다 한국의 잠수함 설계·건조·운용 기술을 글로벌 시장에 확실히 입증하는 장이 될 수 있다.

여기에 K해양방산 기술력과 신뢰도를 전 세계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도 크다.

내년 계약이 체결되면 캐나다 해군이 보유한 잠수함 4척이 퇴역하는 2035년 이전에 4척을 인도하고 이후 매년 1척씩 인도해 2043년까지 총 12척을 모두 인도할 수 있다는 게 한화오션 설명이다.

여기에 기존 빅토리아급 잠수함 조기 퇴역이 가능해지면, 캐나다는 유지∙보수는 물론, 지원 비용을 상당 부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