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공기 ‘끝없는 평행선’, 정부 결단만 남았다
가덕 4개 쟁점별 비공개 토론회
공단, 현대보다 긴 111개월 언급
부산시 “원래대로 7년, 선착공을”
이견 좁히기는커녕 간극 더 커져
“李 정부 신속 추진 약속 지켜야”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이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 기간으로 현대건설 측의 실격한 공기 연장안보다 오히려 더 긴 기간을 언급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정부가 신속한 추진 의지를 갖고 있는 게 맞느냐는 비판이 나온다. 지역 사회에서는 정부가 ‘정답’이 없는 공기 논란을 이제는 매듭짓고 조속한 착공을 위한 입찰 방향을 결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7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이하 공단)은 지난 4일 부산 강서구 공단 사무실에서 부산시와 공단 측 추천 전문가, 정부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참가한 설계사 등이 참여해 가덕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 기간을 주제로 비공개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수의계약 중단 이후 새 사업자를 찾기에 앞서 입찰 조건의 쟁점인 공기에 대한 이견을 좁혀보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오전 10시에 시작해 오후 5시를 넘기면서 이어진 토론회는 공단이 먼저 지반, 발파, 항행 안전, 건설 등 4개 분야별로 공사의 쟁점과 공법 등을 검토한 공기를 발표한 뒤 시와 공단 측 전문가와 기본계획 참여 설계사 등이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는 순으로 진행됐다.
공단은 발표에서 자체 검토 결과 공사에 111개월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111개월은 정부가 2023년 12월 기본계획에서 고시하고, 실제 입찰 조건에서 제시한 84개월(7년)은 물론이고,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지난 4월 말 입찰 조건을 어기고 제출한 기본설계안의 108개월(9년)보다도 더 길다. 정부는 입찰 조건과 다른 현대건설 측의 기본설계안을 실격 처분했고, 수의계약 절차도 중단했다.
반면 부산시는 정부가 기존 입찰과 동일한 84개월 조건으로 재발주에 나서야 한다고 맞섰다. 84개월은 정부가 158억 원을 들여 진행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별도의 전문가 자문회의 등 공식 절차를 통해 도출하고 국책사업으로 약속한 기간이다. 특히 시는 핵심 쟁점인 연약지반 안정화 기간은 적용 모델에 따라 예측 결과가 다르고, 착공 전에는 누구도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단, 공단 측은 다음 날 설명 자료에서 “공단은 확정된 공기를 제시하지 않았고, 공단이 검토한 공기를 바탕으로 공기 단축 방안을 논의했다”며 “추후 적정 공사 기간이 확정되면 국토교통부와 협의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산시 관계자도 “111개월은 공단이 쟁점 공정별로 최대한 여유 있게 잡은 기간을 더한 수준이고, 토론회는 소통 절차이지 결정을 내리는 자리는 아니었다”라고 설명했다.
난상 토론에서도 ‘적정 공기’에 대한 입장 차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정부가 국책사업에 대한 책임을 갖고 결단을 내릴 시점이라는 의견에 힘이 실린다. 가덕신공항 건설 사업은 현대건설 측의 입찰 조건 위반 이후 5개월째 멈춰 있고, 즉시 입찰이 재개되더라도 이미 지연된 상태다. 이재명 대통령에 이어 ‘신속 추진’을 약속한 김윤덕 국토부 장관도 취임 두 달째에 들어섰다.
부산시 관계자는 “조만간 공사 기간을 포함한 입찰 방침이 결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