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공약 '속도' 강조한 이 대통령…패키지 보따리 풀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 대통령 부산 공약 나열하며 '속도전' 강조
가덕신공항 정상 추진에 공기업·해양 기업 이전 약속도
해사법원, 동남권투자은행까지 패키지로 공약 신속 추진
"지역 발전이 핵심" 전재수 장관, 김경수 위원장 지원사격도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부산 부경대에서 열린 타운홀미팅 '부산의 마음을 듣다' 간담회를 마치며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대현 기자 jhyun@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부산 부경대에서 열린 타운홀미팅 '부산의 마음을 듣다' 간담회를 마치며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대현 기자 jhyun@

이재명 대통령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 해사전문법원·동남권투자은행 설립 등 부산 지역 공약을 나열하며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다면 한다”며 부산 핵심 현안인 차질 없는 가덕신공항 건설 사업 약속과 함께, 일자리 증대와 균형발전 차원에서 해양수산 공기업·출자 기관·기업의 부산 이전까지 얹은 패키지 보따리를 풀었다. 부산·울산·경남(PK) 출신의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의 지역균형발전 지원사격도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지난 25일 부산에서 부산시민과 해양수산업 관계자들과 가진 타운홀 미팅에서 이 대통령은 △가덕신공항 건설 사업 정상 추진 △해수부 부산 이전 △북극항로 개척 △부산 해사법원 설립 △동남권투자은행 설립 △해수부 산하 기관·공기업·출연 기업 부산 이전 △부산 동북아 중심 도시 도약 등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이같은 부산 지역 발전 방안을 거론하면서 ‘속도’에 초점을 맞췄다. 이 대통령은 “(균형발전에는) 정부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정치적 발언의 경우 선거가 끝나면 잊어버리는 ‘빈말’에 그치는 것이 습관이 돼 있더라”며 “그러나 저는 다르다. 한다면 한다”고 말했다. 지난 대선 공약과 이날 행사에서 언급된 부산 발전 방안에 대한 실현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부산·울산·경남(PK) 지역, 동남권 권역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수도권 과밀로는 지속 성장이 불가능하다”며 “이제 지역 균형발전은 생존 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과거에는 자원이 부족하다 보니 한 곳에 몰아주는 ‘몰빵식’ 압축 성장 전략이 유효했지만, 지금은 수도권은 미어터지고 지방은 소멸 위기에 놓인 구조”라며 “균형발전은 더 이상 정부의 배려 차원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지속적으로 살아남기 위한 국가적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부산을 동북아시아 물류 중심 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해 항만 물류 전략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정부 차원에서 실행력을 높이겠다”며 “부·울·경은 수도권과 경쟁이 가능한 유일한 권역”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선 해수부 연내 부산 이전에 대한 ‘확답’도 나왔다. 이 대통령이 “해수부를 포함한 국가기관들의 부산 이전을 가능한 범위에서 신속하게 집행할 것”이라며 전 장관을 향해 “연내 이사가 가능할까요”라고 물었다. 이에 전 장관은 곧바로 “올 수 있다”고 답했다.

PK 출신인 전 장관과 김 위원장의 부산 발전 지원사격도 빛을 발했다. 전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세계적인 항만 인프라를 가지고 있고, 해운 인프라를 품고 있는 부산을 동북아 중심 해양수도 도약을 위한 전초기지로 삼겠다”며 “대한민국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의 전체 파급 체제로 나아가는 그 중간다리 역할을 바로 이곳 부산, PK에서 해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전 장관은 수도권 일극주의 상황을 하나의 ‘위태로운 성장 엔진’이라 규정하면서, “이제는 균형있는 다른 성장엔진이 필요하다”고도 목소리 높였다.

김 위원장도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산다”며 “부산이 해양수도로 도약하려면 해수부뿐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 기업, 대학이 함께 집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교통, 일자리 등 생활권을 먼저 구축해 권역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며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부울경 메가시티 언급에 “규모가 커져야 효율성이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 이 구상을 빠르게 시행해야 한다”며 “부산시민 여러분들은 매우 어려운 환경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부울경, 그중에서도 부산을 중심으로 우리가 새로운 희망을 함께 만들어보자”고 강조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