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변수, BNK금융그룹 수장 거취에 영향 주나
연말께 연임 절차 돌입 관심
부산은행장도 12월 임기 만료
정권 교체 맞물려 경제계 촉각
지역 밀착형 ‘금융 분권’ 기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금융당국 조직개편이 한창인 가운데, 지역에서는 지역경제 핵심 축인 지역금융기관의 수장 연임 여부를 놓고 경제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과 동남권투자은행 설립, 부울경 경제통합이 부울경에 새로운 모멘텀을 가져다줄 기회로 여겨지는 때에 지역금융 수장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임기 만료가 수개월 앞으로 다가온 만큼, 금융당국 조직개편 후 금융 수장이 정해지는 대로 금융지주 인사 분위기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17일 BNK금융그룹에 따르면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로, 늦어도 오는 12월에는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꾸려질 예정이다. 임기 만료 3개월 전부터 경영승계 절차를 개시해야 하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 빈 회장은 2023년 3월에 3년 임기를 시작했다.
지역에서는 빈 회장의 임기 연장 여부를 놓고 벌써부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BNK금융지주 내에서는 빈 회장 취임 후 이사회 사무국을 신설하고 임추위를 이사회 사무국이 관장하도록 편제를 바꿨다. 이전까지는 대표이사 직속의 전략기획부가 지원을 맡았지만 회장이 직·간접적으로 회장 승계에 간섭할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개입 여지를 없앴다.
김지완 전 회장이 회장 승계 과정에서 외부 인사 추천을 못하도록 제한한 것 또한 국회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지배구조를 폐쇄적으로 운용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은 후 외부 추천이 가능하도록 다시 수정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2022년 “김지완 회장 본인은 외부 추천으로 2017년 지주 회장이 된 인사인데 2018년 외부 인사 추천을 못하도록 내부규정을 제한했다”며 “본인을 제외하고는 누구도 회장에 오르지 못하도록 원천 봉쇄한 것”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BNK부산은행 방성빈 행장의 경우 빈 회장 임기보다 3개월 빠른 오는 12월에 만료될 예정이다. 2+1 임기를 모두 마친 셈인데, 행장 임기 연장이 이뤄질 수도 있고 금융지주 사장 등으로 갈 가능성도 점쳐진다. 김태한 경남은행장의 임기는 이보다 1년 더 늦은 내년 12월이다.
현 단계에서 거론되는 변수는 정권 교체다.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대통령 최측근 중심의 ‘금융권 4대 천왕’이 등장한 바 있고, 박근혜 정부에서는 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인 서금회(서강대 출신 금융권 인사 모임)가 요직을 장악한 바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상대적으로 인사 개입이 적었고 실적 위주의 연임 사례가 늘었다. 그러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다시 관치금융 논란이 고개를 들었다. 이재명 정부 또한 실리주의를 강조하고 있어 문 정부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지만 당장 금융당국 수장 인선이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 수장도 아직 정해지지 않아 금융지주 회장 인사와 관련한 내용들이 수면 아래에 있지만 수장이 정해지는 대로 인사 분위기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중은행인 신한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가 BNK금융지주와 마찬가지로 내년 3월 회장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지역에서는 지방은행의 경우 특히나 정권 입김이 작용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높다. 지방은행이 지역 밀착형 관계금융을 통해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고 지방은행을 통해 지역의 돈이 지역에서 재투자가 되는 구조인 만큼 ‘금융 분권’의 핵심이 지방은행이라는 것이다.
특히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HMM 이전, 동남권투자은행 설립과 부울경 경제통합 시도와 맞물려 지방은행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만큼 지역경제와 지방은행의 역할을 잘 아는 사람이 수장을 맡아야 한다는 논리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하는 지방분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분권을 위해서라도 낙하산 인사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