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본사 북항에 지으면 생산 유발 효과 1조 3000억 원
부산상의, 유치 전략·효과 발표
해운 도시 특별법 제정 비롯해
노조 설득안·유치 추진단 제안
부산상공회의소가 14일 발표한 ‘HMM 본사 유치 경제 효과 및 유치 전략’ 보고서는 글로벌 해운 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외에도 부산 본사 이전을 꺼리는 육상 노조 설득 방안, HMM 부산 유치 추진단 구성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그만큼 HMM 본사 부산 이전은 지역 경제계에 영향이 큰 ‘빅 이벤트’다. 해양수산부 이전이 급물살을 탄 후 HMM 본사까지 이전한다면 해양 물류 산업의 지각 변동 신호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해수부에 HMM까지… ‘화룡점정’
부산상의가 선제적으로 HMM 이전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HMM 본사가 부산으로 온다면 부산이 명실상부한 해운 물류 중심지로 거듭나는 데 화룡점정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내 최고 항만을 보유한 부산은 이미 한국해양진흥공사, KDB산업은행 선박금융본부 등 해양 금융 기능도 보유했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등은 해운 물류 전문 인력을 꾸준히 길러내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R&D 기능 역시 집적해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으로 해양수산부 부산 연내 이전이 확정됨에 따라 해양 물류 거점 완성을 위한 다음 순서로 산업 집적이 지목되고 있다. 그 상징적인 이벤트가 HMM 본사 부산 이전이다. 산업 기능까지 부산에 모인다면 완전한 해운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양 회장은 “HMM과 같은 대기업 본사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것은 전례가 없던 것으로 새 정부가 지방을 살리고, 부산을 글로벌 해양수도로 발전시키기 위해 고민 끝에 내놓은 정책 솔루션”이라며 “글로벌 10대 선사 중 7곳이 해양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상황에서 글로벌 8위를 달리고 있는 HMM 본사의 부산 이전은 국내외 해운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엄청난 이슈인 만큼 지역 경제계도 부산 해운 물류 산업 발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HMM은 현재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파크원에 본사를 임차 방식으로 쓰고 있다. 이 때문에 HMM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데 북항 재개발 지역에 랜드마크급 본사 건물 건립이 검토되고 있다. 보고서에는 HMM이 본사 이전과 함께 사옥을 신축할 경우 경제효과도 분석했다. HMM이 50층 규모 지능형 건물을 건축한다고 가정하면 생산 유발효과 1조 300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4570명 고용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원격 근무 늘려 노조 설득
HMM 부산 이전은 노조 설득이 관건이다. HMM 육상노조는 이 대통령의 공약에 대해 “상장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훼손하는 정치적 폭력”이라며 “HMM 본사의 부산 강제 이전을 강력히 반대한다. 졸속 이전 추진 시 강력한 투쟁으로 대응할 것을 선언하며 이전 계획 철회를 촉구한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지역 사회에서는 산업은행 이전이 국회 설득과 노조·금융계 반발 등의 벽을 넘지 못해 무산된 전례가 있어 걱정도 크다. 보고서에는 사전 소통 및 정례 협의체 구성, 일정 기간 거점 근무나 원격 근무를 병행할 수 있게 하는 선택형 정착 지원 및 복지 확대, 정부·기업·노조 상호 간의 상생협약 체결 등의 내용도 담겼다.
부산상의는 민관 공동 거버넌스 구성도 제안했다. 부산시, 지역 정치권, 해운기업 및 노조, 부산상의, 정책금융기관 등이 참여한 가칭 ‘HMM 본사유치추진단’이다. 부산상의는 추진단을 통해 특별법 제정, 부지 선정, 클러스터화를 위한 기반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