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민생쿠폰 지급, 전통시장-편의점 특수 기대 ‘극과 극’
사용처 연간 매출 30억 원 이하
전통시장, 무더위 등 효과 저조
편의점은 접근성 등 최대 수혜
행정센터엔 쿠폰 사용 문의 빈발
구체적 지침 없어 안내 어려움
정부가 오는 21일부터 전 국민에게 민생 회복 소비쿠폰(이하 민생쿠폰)을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이후 업종별로 소비 진작 효과에 대한 희비가 교차한다. 일선 행정복지센터에는 관련 문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를 위한 정부의 업무 지침은 아직 없어 시민들의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오는 21일부터 전 국민에게 민생쿠폰을 1인당 15만~45만 원씩 지급된다. 위축된 국내 소비 진작과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이다. 지역 경제 전반에서 ‘쿠폰 특수’가 전망되지만, 온도 차는 업종마다 크게 다르다. 민생쿠폰은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의원, 학원 등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운영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편의점도 일부 직영점을 제외한 대부분 지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전통시장에서는 유독 민생쿠폰에 대한 기대감이 낮다. 7~8월은 통상적으로 다른 시기에 비해 매출이 낮은 비수기이고, 최근 연일 이어지는 때이른 불볕더위로 야외에서 운영되는 시장을 찾는 발길 자체가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무더위가 지난 이후에도 전통시장에서 쿠폰 특수는 ‘남의 집 잔치’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민생쿠폰 사용 기한은 오는 11월 30일까지이다. 하지만 과거 재난지원금이 지급 직후 곧바로 대부분 사용됐던 것을 고려하면 여름 이후 전통시장에서 사용할 민생쿠폰 잔액이 없을 확률이 높다. 부산진구 부전시장 내 정육점에서 일하는 정희태(34·부산 부산진구) 씨는 “시장을 찾는 손님들은 대부분 50대 이상 고령인데 너무 더워서인지 최근에는 시장에 잘 오지 않는다”며 “민생쿠폰의 지급 시기가 아쉽다”고 밝혔다.
반면 편의점 업계는 민생쿠폰 지급의 최대 수혜주로 꼽힌다. 편의점은 냉방시설을 갖추고 접근성도 좋은데 최근에는 생필품을 넘어 무선 이어폰 등 고가의 전자기기, 선물 세트 등을 파는 ‘백화점화’ 추세로 선택 폭이 넓어져 소비자들의 발길이 몰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너무 더워 방문이 꺼려지는 전통시장과 민생쿠폰 사용이 불가능한 백화점 사이를 편의점이 메운다는 것이다.
실제 2020년 5월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국내 한 편의점 프랜차이즈의 지역화폐 결제 금액은 전달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해운대구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정설이(45·부산 해운대구) 씨는 “손님들이 평소에는 비싸서 선뜻 고르지 못하는 고가 주류 등도 이번 기회에 많이 팔릴 것으로 기대하며 손님맞이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생쿠폰 지급과 사용에 대해 궁금한 시민들은 혼선을 빚고 있다. 지난 5일 정부의 민생쿠폰 지급 발표 후 일주일 넘게 지났지만 현재까지 각 행정복지센터에 발송한 민생쿠폰 지급 업무와 관련된 지침은 없다. 행정복지센터를 찾은 고령 민원인은 이에 대한 원론적인 답변만 들을 수 있다. 구체적인 업무 지침이 없어 행정복지센터에서도 언론 보도 자료나 과거 재난지원금 지급 절차 등을 참고하기 때문이다.
고령층은 인터넷에서 체크카드 방식 등으로 민생쿠폰을 직접 신청하거나 관련 정보도 쉽게 얻는 젊은 세대와 달리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해 선불카드 방식으로 민생쿠폰을 받는 경우가 많아 행정복지센터 안내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들은 행정복지센터에 신청 시기, 수령 금액 등을 주로 묻지만 일선에서 명확한 안내는 어려운 상황이다.
민생쿠폰 안내 과정에서 혼선을 덜기 위해 일부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 민원 응대 참고 자료를 만들어 배포하기도 했다. 부산진구의 한 행정복지센터 관계자는 “정부 공식 발표 이후부터 민생쿠폰 지급 시기, 방법 등에 대해 문의하는 어르신들이 크게 늘었다”며 “아직 정부 차원의 정확한 지침이 없어 구청에서 배포한 자료와 코로나 팬데믹 당시 재난 지원금 지급 사례를 참고해 조심스럽게 응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 ,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