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수장관 후보자 “해수부 부산 이전 완수… 해양수산 기관·주요 해운기업 유치”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회 인사청문회 모두 발언… “북극항로 거점 신속 조성”
“‘K해양강국 건설’·‘수산업 혁신’·‘활력 넘치는 어촌·연안’ 총력”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14일 “북극항로를 통해 현재의 수도권 일극화 체제를 극복하고 행정, 산업, 사법, 금융 기능을 집적화시켜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을 장착하겠다”며 “그 첫 단추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없이 완수하고, 이를 마중물로 삼아 해양수산 관련 기관을 비롯해 주요 해운기업까지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전재수 후보자는 이날 오전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모두 발언을 통해 “해양수산 분야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도록 다섯 가지 주요 정책 방향에 중점을 두고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첫 번째 정책 방향으로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거점을 신속히 조성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 후보자는 이어 “(2028년 열리는 제4차) 유엔(UN) 해양 총회를 우리나라에서 유치해 북극항로를 선도하는 우리의 의지를 널리 알리는 등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정책 방향으로는 ‘지속가능한 수산업 혁신’을 제시했다.

전 후보자는 “기후변화는 해운물류 뿐만 아니라 수산업에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며 “연근해어업은 총허용어획량(TAC) 관리체계로 전환시키고, 양식업은 스마트 혁신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정책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 또한, 국민들께 신선한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수산물 수급 관리에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전 후보자는 “점차 가시화되는 국제사회의 친환경 규제는 우리의 해운・항만산업에 큰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며 ‘해운항만 경쟁력 강화를 통한 K해양강국 건설’을 세 번째 정책 어젠다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 전 후보자는 “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국적 선대를 개편하고, 암모니아·수소 등 무탄소 선박과 한국형 완전자율운항선박 등에 대해서도 신속한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형 선박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는 한편, 부산항은 스마트 자동화 기술이 접목된 진해신항 개발로 거점 항만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전국 항만들도 권역별 맞춤형 발전 전략에 따라

차질없이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 후보자는 “기후변화 심화에 더해 소멸 위기에 놓인 어촌의 여건은 해양수산정책 전반에 새로운 접근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며 ‘어촌과 연안을 기회의 땅으로 활용해 활력 넘치게 만드는 것’을 네 번째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 전 후보자는 “국민들이 전국 어디서나 바다가 주는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거점 연안 지역에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를 건설하고, 작은 어촌・연안에는 해양 치유, 어촌 체험, 생태관광, 낚시 등 해양자원 특성에 맞는 인프라를 갖춰 지역의 경제 활력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해상풍력의 경우 “환경성과 수용성을 충분히 고려해 계획 입지를 설정하고, 지역 주민, 어업인들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이익 공유 모델도 적극적으로 개발해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전 후보자는 “해양 주권을 수호하고 청정한 바다 조성에 한층 더 앞장서겠다”며 “독도, 영해기점도서, 무인도 등의

해양 영토 관리를 보다 굳건히 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해양안전관리에 빈틈이 없도록 하겠다. 또한 2030년까지 우리 해역의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나가고, 해양 쓰레기와 폐어구의 전(全)주기 관리로

깨끗한 바다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