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상권 살릴 계기 될까… 부산대·하단역·기장시장, 총 160억 지원받는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난해 부산 금정구 부산대 앞 상가 점포 곳곳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지난해 부산 금정구 부산대 앞 상가 점포 곳곳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침체된 지역 상권을 살리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16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부산시 상권 활성화 사업’ 공모에 부산대(금정구)와 하단역(사하구), 기장시장(기장군)이 선정됐다. 선정된 상권 상인들은 대규모 예산 투입이 상권 활성화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9일 부산시의회에 따르면 ‘부산시 상권 활성화 사업’ 공모 결과 △금정구 부산대 앞 일대 △사하구 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 일대 △기장군 기장시장 일대 총 3곳이 선정됐다. 이번 공모에 선정된 상권 3곳은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5년간 총160억 원을 지원받는다. 상권 활성화 사업은 지난해 처음 시작됐으며,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한다.

금정구 부산대 일대는 공실률이 급증하며 상권이 빠르게 침체되고 있다는 이유로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사하구 하단역 일대도 상권 침체가 장기간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업 대상지가 됐다. 기장군 기장시장은 지역 유일 전통시장이 가진 역사성 등이 공모 선정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다만 활성화 사업 대상지 면적 등이 금정구와 사하구에 비해 작아 지원금이 타 지자체에 비해 적게 책정됐다. 부산진구 서면1번가와 만취길 일대는 점포 공실이 늘어나는 등 과거보다 상권이 침체하고 있으나, 유동 인구가 여전히 많다는 점 등에서 탈락했다.

각 구·군이 치열한 경쟁을 펼친 만큼 부산시는 지난해에 비해 선정지를 2곳에서 3곳으로 늘리고 지원 금액도 60억 원이나 늘렸다. 지원 사업비 160억 원은 정부 80억 원, 시 40억 원, 구·군이 40억 원을 부담한다. 지난해엔 동구 ‘초량이음 자율상권’과 남구 ‘유앤남구대학로 자율상권’ 2곳이 선정돼 5년간 총 100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이번 예산 투입으로 금정구는 한때 부산 대표 상권으로서 호황을 누렸으나 급격히 쇠락한 부산대 앞 상권이 부활하길 기대한다. 금정구는 부산대 앞 일대 브랜드 개발과 더불어 특화 거리를 조성하고 경관 개선에도 나설 계획이다. 부산 대표 대학가인 만큼 젊은 층과 관광객 유입을 늘리겠다는 목표다. 사하구는 하단역과 동아대 인근 상권을 중심으로 상권 특색을 반영한 거점 공간 조성, 특화상품 브랜드 개발 등에 나선다. 기장군은 기장시장 지역 자원과 역사·문화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30일 오전 공모에 선정된 금정구 부산대 일대에 대한 현장 방문에 나선다. 박형준 시장과 금정구청장, 국회의원과 시의원, 부산대 자율상권조합장, 부산대 상가총연합회장 등 10여 명이 참석한다.

부산시의회 이준호 의원은 “이미 붕괴 직전인 부산대 상권은 부산대·부산교대 통합으로 학생이 유출될 경우 악화일로를 걸을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오는 상황이었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부산대 상권이 살아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