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PGA 투어, 태국 푸껫서 기지개 켜고 '티샷'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가 긴 겨울 휴식기를 마치고 2025년 시즌을 시작한다. 개막전은 13일부터 나흘 동안 태국 푸껫의 블루캐니언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리는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총 상금 80만 달러)이다. 지난해에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하나금융 싱가포르 여자오픈이 개막전이었지만, 싱가포르 여자오픈이 없어지면서 지난해 시즌 두 번째 대회였던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이 개막전이 됐다.
작년에 3라운드 54홀 경기로 치렀던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은 올해 4라운드 72홀 경기로 바뀌었고, 상금도 65만 달러에서 80만 달러로 많아져 시즌 개막전의 위상을 갖췄다. 또 지난해에는 72명의 선수가 참가해 컷 없이 모두 상금을 탔지만, 올해는 출전 선수가 120명으로 늘어나면서 2라운드 성적 상위 60위까지 3, 4라운드를 치르도록 바뀌었다.
개막전을 맞아 KLPGA 투어 간판선수가 총출동한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로 무대를 옮긴 지난해 상금왕 윤이나는 빠졌으나 박현경, 박지영, 황유민, 김수지, 마다솜, 이예원, 노승희, 배소현, 방신실 등 지난해 상금랭킹 2~10위 선수가 모두 출전한다. 박현경, 박지영, 이예원, 배소현, 마다솜은 지난해 나란히 3승씩 거둔 공동 다승왕이라 개막전부터 다승왕 2연패를 놓고 격돌한다.
지난해 이 대회 초대 챔피언 이예원은 타이틀 방어에 나선다. 이예원은 “지난해 이 대회의 초대 챔피언이 된 덕분에 상반기를 잘 풀어나가며 시즌 3승을 했다. 올해도 이번 대회에서 시즌 첫 우승을 신고하면 올 시즌 목표를 이루는 첫 단추를 잘 끼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의욕을 보였다.
이예원은 “시즌 첫 대회이기 때문에 우선 톱10 진입을 목표로 욕심내지 않는 플레이를 차분히 하다 보면 기회가 올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페어웨이를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섬세한 그린 공략이 필요하다. 겨울 동안 중거리 퍼트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퍼트 연습에 매진했는데, 많은 버디를 잡아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략을 소개했다. 지난해 신인왕 유현조와 지난해 우승 물꼬를 튼 김민별, KLPGA 투어 최다승(20승)에 1승을 남긴 박민지, 부활을 노리는 임희정도 개막전 우승을 꿈꾸며 출사표를 냈다.
세계랭킹 14위 야마시타 미유(일본)의 참가가 우승 경쟁의 변수로 꼽힌다. 일본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통산 13승을 쌓은 야마시타는 2022년, 2023년 연속 상금왕에 올랐고 작년에도 2차례 우승한 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퀄리파잉 시리즈 1위로 LPGA 투어에 진출했다. LPGA 투어에서도 올해 3차례 대회에 출전해 톱10에 두 번이나 진입하는 등 세계 정상급 경기력을 지녔다.
야마시타의 출전은 블루캐니언 레이디스 챔피언십이 열리는 기간에 LPGA 투어와 JLPGA 투어 모두 대회가 없어 성사됐다. KLPGA 투어에서 10차례 우승하고 2016년 상금왕을 차지했던 박성현도 출전한다. 박성현은 미국으로 건너가 LPGA 투어에서 7승을 올리며 상금왕과 신인왕을 석권하고 세계 랭킹 1위를 찍었다가 지난해 병가로 쉰 뒤 올해 재기를 노린다.
2025-03-11 [17:43]
-
일본여자프로골프 신지애, 상금 1위
신지애(사진)가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 통상 상금 1위 자리에 올랐다.
신지애는 9일 일본 오키나와현 류큐 골프클럽(파72)에서 열린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 시즌 개막전 다이킨 오키드 레이디스 골프토너먼트(총상금 1억 2000만 엔) 최종 라운드에서 3언더파 69타를 쳐 최종 합계 6언더파 282타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우승은 이날 6언더파 66타를 쳐 합계 10언더파 278타를 기록한 이와이 치사토.
준우승 상금 872만 엔을 받은 신지애는 누적 상금을 13억 8074만 3405엔으로 늘려 후도 유리(13억 7262만 엔)를 제치고 통산 상금 1위에 올랐다 개인 통산 66번째 우승과 JLPGA 투어 통산 31번째 우승을 놓친 게 아쉬운 대목일 뿐이었다.
신지애는 올해 JLPGA 투어 상금왕을 노리면서 JLPGA 투어에 전념할 계획이어서 통산 상금 1위는 당분간 독주할 전망이다.
안병훈은 9일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총상금 2000만 달러) 3라운드에서 공동 17위로 뛰어올랐다. 그는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베이힐 골프 앤드 로지(파72·7천466야드)에서 열린 대회 3라운드에서 버디 5개, 보기 3개를 합해 2언더파 70타를 쳤다.
1~3라운드 합계 1언더파 215타. 전날까지 11위를 달린 김시우는 이날 1오버파 73타를 쳐 3라운드 합계 1언더파 215타 공동 17위로 미끄러졌다.
2025-03-09 [18:16]
-
중국서 블루베이 LPGA 6일 개막
2025시즌 LPGA 투어 봄철 ‘아시안 스윙’의 마지막 대회인 블루베이 LPGA(총상금 250만 달러)가 6~9일 중국 하이난성 젠레이크 블루베이 골프코스(파72·6천712야드)에서 열린다. 이번 대회엔 108명의 선수가 출전해 컷 없이 나흘 동안 경쟁을 펼친다.
한국 선수로는 김아림이 선봉에 선다. 김아림은 올 시즌 개막전인 지난달 초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LPGA 투어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올해 출전한 3차례 LPGA 투어 대회에서 모두 톱10에 들며 기세를 올리고 있다.
이번 대회는 올 시즌 우승 경험이 있는 노예림(파운더스컵), 에인절 인(혼다 LPGA 타일랜드·이상 미국), 리디아 고(뉴질랜드·HSBC 월드 챔피언십)가 나서지 않아 김아림으로선 시즌 2승을 가장 먼저 달성할 좋은 기회다.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를 평정하고 올 시즌 LPGA에 진출한 ‘슈퍼 루키’ 윤이나에게도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부상으로 LPGA 투어에서 뛰지 않았다가 지난달 파운더스컵을 통해 복귀했으나 컷 탈락한 전 세계 랭킹 1위 박성현도 이번 대회를 반등의 기회로 삼기 위해 심기일전하고 있다.
여기에 임진희, 지은희, 이미향, 이소미, 이정은, 장효준, 전지원, 박금강, 주수빈을 합쳐 이번 대회엔 12명의 한국 선수가 나선다.
2025-03-04 [18:04]
-
리디아 고, LPGA HSBC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디아 고(뉴질랜드)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시즌 첫 승을 거뒀다.
리디아 고는 2일 싱가포르 센토사 골프클럽(파72·6779야드)에서 열린 LPGA 투어 HSBC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총상금 240만 달러) 4라운드에서 3언더파 69타를 적어내 최종 합계 13언더파 275타로 우승 상금 36만 달러를 획득했다.
공동 2위를 차지한 지노 티띠꾼(태국), 후루에 아야카(일본·이상 9언더파 279타)를 4타 차로 따돌린 완벽한 우승이었다. 리디아 고가 트로피를 들어 올린 건 지난해 9월 크로거 퀸시티 챔피언십 이후 5개월여 만이다.
리디아 고는 지난해 2024 파리 올림픽 금메달과 LPGA 투어 3승을 거두며 최고의 한 해를 보낸 뒤 올 시즌 개막전인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에서도 6위로 선전했다.
두 번째 대회인 파운더스컵에선 공동 48위에 그쳤지만, 시즌 세 번째 출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함박웃음을 지었다.
리디아 고는 이 대회 우승으로 LPGA 투어 통산 승수를 23승으로 늘렸다.
이날 한국 선수들도 선전했다. 임진희는 이날 5언더파 67타를 몰아치면서 최종 합계 7언더파 281타로 찰리 헐(잉글랜드), 가비 로페스(멕시코)와 공동 4위에 올랐다.
2라운드까지 단독 1위를 질주하다가 3라운드에서 공동 4위로 떨어진 김아림은 이날 이븐파 72타에 그치면서 최종 합계 6언더파 282타로 공동 7위를 기록했다.
김아림은 올 시즌 개막전에서 우승한 뒤 두 번째 출전 대회인 혼다 LPGA 타일랜드에서 공동 6위에 올랐고, 세 번째 출전 대회에서도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이날 4언더파 68타를 친 김효주는 김아림과 함께 공동 7위에서 어깨를 나란히 했다.
2025-03-02 [17:25]
-
LPGA 투어 상금 1위 김아림, 시즌 2승 도전
상금 랭킹 1위인 김아림이 시즌 2승에 도전한다. 27일부터 나흘 동안 싱가포르의 센토사 골프클럽 탄종 코스(파72)에서 열리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HSBC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총상금 240만 달러)에서다.
시즌 2승이 가장 기대되는 선수가 김아림이다. 올 시즌 개막전 힐튼 그랜드 배케이션스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우승한 김아림은 두 번째 출전 대회였던 혼다 LPGA 타일랜드에서 공동 6위에 올라 2개 대회 모두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불과 2개 대회밖에 치르지 않았지만, 김아림은 모두 톱10에 진입했고, 상금 랭킹 1위, 올해의 선수 포인트 1위, CME 그로브 포인트 2위, 그리고 평균타수 3위(67.38타)에 올라 있다.
이같은 김아림의 상승세는 달라진 경기력 때문이다. 김아림은 한국에서 뛸 때부터 남다른 장타력으로 주목 받았으나 섬세한 플레이에는 능하지 못했다. 미국에 진출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김아림은 장타 9위였지만 페어웨이 안착률은 131위에 그쳤다. 그린 적중률이 좋을 리 없어 44위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해는 장타 순위 9위로 여전히 멀리 치면서 페어웨이 안착률은 11위(82.14%)로 높아졌다. 그린 적중률은 9위(82.64%)로 급상승했다.
왼쪽으로 살짝 휘어지는 드로 구질을 주로 구사하던 김아림이 오른쪽으로 살짝 휘어지는 페이드 구질로 바꾸면서 탄도와 정확도가 더 높아진 것이다.
더 극적인 변화는 그린에서 나타났다. 지난해 김아림의 라운드당 퍼트 개수는 30.12개로 86위였다. 미국 진출 이후에 한 번도 30개 안쪽으로 들어온 적이 없었고, 순위도 80위 밖이었다. 올해는 28.75개로 14위까지 올랐다. 장타에 세기까지 갖추면서 시즌 2승 전망을 밝혔다.
이번 대회에서는 2022년과 2023년에 우승한 고진영이 대회 최다승을 노린다. 2008년 시작한 HSBC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에서 두 차례 우승한 선수는 고진영과 박인비뿐이다. 고진영이 우승하면 대회 사상 최초로 3번 우승하는 금자탑을 세운다.
2021년 우승자 김효주와 유해란, 양희영, 최혜진, 임진희, 안나린, 신지은, 이미향도 출전한다.
지난해 우승자 해나 그린(호주)과 세계 랭킹 2위 지노 티띠꾼(태국), 그리고 태국을 건너뛰고 휴식했던 리디아 고(뉴질랜드), 그리고 혼다 LPGA 타일랜드에서 우승한 에인절 인(미국)과 파운더스컵 챔피언 노예림(미국) 등이 우승 후보로 꼽힌다.
2025-02-25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