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오션플랜트 협상 기한 두 달 연장… ‘매각 무산설’ 재점화
디오션 컨소 우선협상대상자 기간
‘11월 말에서 내년 1월 말까지로’
앞서 SK 부사장 재고 가능성 시사
기한 연장에 매각 무산설 재점화
SK오션플랜트 사업장이 있는 고성 동해면 주민들로 구성된 동해면발전위원회는 최근 ‘SK 매각 반대 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지난달 28일 주민 반대 집회를 열었다. 부산일보DB
속보=지역 사회 공분을 사고 있는 SK오션플랜트 사모펀드 매각 사태(부산일보 11월 18일 자 4면 등 보도)가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지역민과 지자체,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졸속 매각 반대를 외치자 강경했던 SK그룹도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하며 한발 물러선 가운데, 협상 기한이 두 달 더 연장됐다.
설상가상 부정적 여론에 부담을 느낀 핵심 투자사가 발을 빼면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매각 무산설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오션플랜트는 이날 정정공시를 통해 ‘디오션 컨소시엄과 상호 협의로 최대 주주 지분매각 우선협상자대상자 기간을 2개월(8주) 연장해 2026년 1월 이내 종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이 두 번째 연장이다. SK오션플랜트는 지난달에도 우선협상자 기한을 10월 말에서 11월 말로 4주 연장했었다.
SK오션플랜트 최대 주주는 모기업인 SK에코플랜트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옛 삼강엠앤티를 인수해 이듬해 2월 사명을 SK오션플랜트로 바꿨다.
이후 과감한 투자와 시장 공략으로 명실상부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분야 아시아 1위 해상풍력 전문 자회사로 키워냈다.
지난해에는 양촌·용정일반산업단지에 1조 1530억 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기지를 건설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기회발전특구’ 지정까지 받아냈다.
하지만 최근 7조 원대 차입금에 따른 부채 압박이 커지자 알짜 자회사인 SK오션플랜트 매각에 나섰다.
9월 말 기준 SK에코플랜트는 SK오션플랜트 2225만 6969주를 보유하고 있다. 지분율은 35.62%다.
문제는 매각 대상이다. SK오션플랜트는 앞서 SK에코플랜트 지분 매각 관련 우선협상자로 ‘디오션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컨소시엄 주관사인 디오션자산운용은 강덕수 전 STX그룹 회장 등이 작년 3월 설립한 것으로 알려진 신생 사모펀드 운용사다.
이를 뒤늦게 인지한 지역 사회는 발끈했다. 사업 축소와 투자 중단, 고용 위축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당혹감을 넘어 배신감마저 느낀 지역민들은 범군민대책위를 꾸리고 매각 저지에 사활을 걸고 나섰다. 여기에 지자체, 상공계는 물론 여야 정치권까지 한목소리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예상보다 강한 반발에 SK그룹도 한 발짝 물러섰다.
SK 이경남 부사장은 지난 10일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이 마련한 간담회에 배석해 “일방적인 결정보다는 주민들 의견을 충분히 듣겠다. 협의가 진행되는 동안 매각 협상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주민이 많이 반대하고, 회사가 어렵더라도 (SK가) 끝까지 하라고 하면 다른 대안 없이 유지해야죠”라며 사실상 백지화 가능성까지 열어뒀다.
이런 상황에 협상 기한이 연거푸 연장되면서 매각 논의가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악화일로인 지역 여론에다 정치권에서도 반감이 상당한 상황에 애초 1000억 원을 출자하기로 했던 노앤파트너스 마저 컨소시엄에서 이탈했기 때문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협상 기한 연장은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한다. 매각 강행 의지일 수도 있고, 그 반대를 위한 시간일 수도 있다. 이경남 부사장이 공개석상에서 빈말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를 두면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진행 상황을 주시하며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