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이후 시스템 복구됐다지만… 후폭풍 여전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안전신문고 복구 일주일 만에 민원 1만 1123건
시스템 먹통 기간 민원 신고들 소급 접수돼
수기 구급일지 시스템 옮기는 등 여파 지속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이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9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먹통이 됐던 정부 시스템 복구가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지만, 현장은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부산 16개 구·군은 이달 민원 시스템 복구 직후 일주일 동안 1만 건이 넘는 ‘민원 폭탄’에 시달리고 있고, 부산 119안전센터는 시스템 마비 기간 수기로 적었던 수백 페이지 분량의 구급출동 일지를 다음 달까지 전용 시스템에 옮겨야 한다.

13일 부산 16개 구·군에 따르면 ‘안전신문고’가 복구된 지난 5일 오전 9시부터 12일 오전 9시까지 일주일 동안 해당 시스템으로 접수된 민원은 모두 1만 1123건이다. 서구가 99건으로 가장 적었고, 수영구가 2255건으로 가장 많았다.

안전신문고는 불법 주정차, 시설물 균열 등 생활 속 안전 위험 요인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으로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지난 9월 26일 국정자원 화재로 지난 5일까지 약 6주간 기능이 정지됐다.

복구 직후 평상시보다 더욱 많은 민원이 접수됐는데, 북구의 경우 국정자원 화재 직전 일주일(9월 19일~9월 25일) 동안 접수된 민원은 1178건이다. 반면 복구 직후 일주일 동안은 1744건이 접수됐다.

공직 사회는 안전신문고가 먹통이 된 약 6주간 접수되지 못했던 민원이 단기간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본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9월 24일부터 지난 4일까지 발생한 교통법규 위반과 불법 주정차 등 각종 신고와 민원을 지난 11일까지 안전신문고에 소급해 접수할 수 있도록 조치했기 때문이다.

부산의 한 구청 공무원은 “안전신문고 민원의 가장 큰 비중이 불법 주정차 신고”라며 “현장방문 민원 접수는 이용객이 거의 없었고, 대부분 시민이 안전신문고 복구 이후 민원을 접수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소방 당국도 국정자원 화재 여파에 시달리고 있다. 부산소방재난본부 따르면 부산 지역 61개 119안전센터는 다음 달까지 수기로 기록한 구급출동 일지를 ‘119구급 스마트 시스템’에 옮겨야 한다. 추후 통계 활용 등을 위해 수기로 적은 구급 활동을 다시 복구된 시스템에 옮기는 것이다. 센터마다 시스템에 옮길 분량이 최대 수백 페이지에 이른다. 부산에서 가장 바쁜 센터의 한 달 평균 구급출동 횟수가 300번 내외다. 이에 따른 구급일지 분량은 최소 300페이지 이상으로 추정된다.

앞서 국정자원 화재로 환자 정보와 사고 현장 등을 자동으로 정리해 주던 119구급 스마트 시스템도 먹통이 됐다. 지난달 29일 시스템은 복구됐으나, 그전까지는 구급출동 때마다 응급 환자 인적 사항, 사고 현장 등을 수기로 적어야 했다.

부산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시스템으로 옮겨야 할 분량이 100페이지면 양호한 수준”이라며 “출동에 지장 없는 선에서 시스템에 구급출동일지를 옮기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정부 장애 시스템 복구율은 12일 오후 2시 기준 98%다. 총 709개 정부 시스템 중 695개가 복구됐다. 정부는 오는 20일까지 모든 복구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