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추적] ‘도이치모터스 부당 대출·尹정부 인수위 참여’ “모두 억측”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치권, BNK금융 회장 흔들기
100억 원 대출은 취임 전 발생
인수위 행보는 확인되지 않아
반복되는 정치권 개입 본질 흐려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의원 등이 지난 29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BNK금융지주 회장·부산은행장의 즉각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허성무 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의원 등이 지난 29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BNK금융지주 회장·부산은행장의 즉각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허성무 의원실 제공

경남, 울산 지역 여당 의원들이 BNK금융지주 회장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까지 열면서 정치 개입이라는 비판(부산일보 10월 30일 자 6면 보도)이 나오는 가운데, 정치권이 제기한 의혹에 대해 사실 확인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아니면 말고 식’ 폭로가 확대 재생산되며 마치 사실인 양 호도돼 지역 대표 금융기관 수장을 선임하는 절차의 본질을 흐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이다.

■도이치모터스에 100억대 부당 대출?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김정호, 김태선, 김상욱, 허성무 의원은 지난 29일 국회 소통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도이치모터스·도이치파이낸셜 계열사에 대한 100억 원대 무담보 신용대출에 대해 “단순 금융 거래가 아닌 윤석열 정권과의 권력형 유착 의혹”이라고 주장하며 현 BNK금융 회장과 부산은행장을 겨냥했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도 지난 21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유사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BNK부산은행도 의원실 요청에 따라 해당 의혹 해명 자료를 금융감독원 등에 제출한 것으로 전해진다.

부산은행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A사는 2015년 8월부터 부산은행으로부터 50억 원 대출을 받고 있었다. 신용 등급도 A-로 꽤 높았다. 그러나 2022년 11월 A사 지분 100%가 도이치모터스(주)로 넘어가게 됐고, 이에 따라 A사 주거래은행 또한 도이치모터스 주거래은행으로 바뀔 위기에 놓였다.

당시 대출 이탈을 막아야 했던 부산은행 해당 지점에서는 도이치모터스가 기존 대출을 유지하도록 하는 조건에 대해 논의했고 요구보다는 적은 금액인 신용대출 50억 원을 해줬다. 도이치모터스의 신용 등급은 A-였지만 여신위원회 심사를 거친 뒤 무담보 신용대출 조건에 맞춰 BBB+ 등급으로 대출을 했다. 이후 계열사인 도이치파이낸셜에 대한 신용 대출 50억 원을 경남은행에서 추가로 내주려 했지만, 내부 규정에 따라 부산은행이 실행을 했다.

BNK부산은행 관계자는 “당시 대출 이탈을 막아야 한다는 내부 보고가 올라왔고 대출 진행을 할 시기는 빈대인 회장 취임(2023년 3월), 방성빈 부산은행장 취임(2023년 4월) 전으로 오히려 다른 은행장이 있을 때의 일”이라고 밝혔다.

특히 도이치모터스의 경우 BMW 미니 판매량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시장 점유율이 높고, 여신 심사가 이뤄지던 2022년 12월 기준으로도 자산은 5610억 원, 매출액은 1조 5950억 원에 이르는 회사였다. 당시 현금 흐름도 330억 원에 이를 정도로 좋았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그 정도 신용 등급, 매출 규모가 되는 곳이라면 신용대출을 더 해주면 더 해주지 50억 원, 100억 원 정도면 결코 많이 해줬다고 볼 수 없는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2022년 12월 기준 도이치모터스의 산업은행, 시중은행 등에서의 대출액은 1620억 원에 이른다. 부산은행을 통한 도이치모터스 계열사 합산 대출액은 184억 원이다.

■윤 정부 인수위, 남구청장 예비후보?

정치권에서는 빈 회장이 윤석열 정부 인수위 활동을 했다며 전임 정부와 연결돼 있다는 주장도 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9일 기자회견에서도 참여 의원들은 “빈 회장은 윤석열 정부 인수위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정치권과의 연결 고리를 통해 금융권 인사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지난 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부산 남구청장 예비후보로까지 거론된 바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인수위 참여 등 빈 회장의 정치적 행보 이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BNK금융 관계자도 “인수위원 활동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지난 지방선거 당시 지역 사회에서 남구청장 예비후보 제안이 있었지만 두 차례 모두 거절했다”고 반박했다.

정치권이 BNK금융 회장 선임 때마다 개입하는 행태에 대한 불만도 크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지방 금융지주 회장, 은행장 하나쯤은 정치권에서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냐”며 지역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반발했다. BNK금융 내부에서도 “회장이 바뀔 때마다 이 같은 폭풍을 맞아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씁쓸해 하고 있다.

한편,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30일 차기 회장 선임 절차와 관련, "현재 진행 중인 경영승계 절차는 2023년 12월 발표된 금융감독원의 지배구조 모범관행 가이드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임추위는 또 "후보자 모두 사전 상시 후보군으로 추천된 인물로, 일반적인 채용 형식의 외부 공모 방식과 달리 형식적 요건보다 실질적 검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