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경기 침체 금융위기 때보다 빠르고 심각하다
건산연 “정부 지원책 서둘러야”
현재의 건설 경기 침체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심각해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한 최근 건설 경기 진단과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현재 건설 경기를 비교했다.
건설 경기 선행지표인 건설 수주는 2023년에 전년 대비 16.6% 감소해 2008년(-6.1%)보다 눈에 띄게 감소 폭이 컸다. 건축 착공 면적도 2008년에는 22.2% 감소했으나 2023년에는 31.7% 줄었다.
건설 기성(현장별 시공 실적)은 2007년 6.6%, 2008년 4.9%, 2009년 3.2%로 당시는 증가율은 낮았지만 성장세는 이어갔다. 그러나 최근엔 2022년 12.4%, 2023년 10.7% 증가하다 2024년 -3.2%로 하락 전환했다. 건설 투자도 2022년과 2024년 각각 전년 대비 3.5%와 3.0% 감소해 2008년 감소 폭인 2.7%를 웃돌았다.
건산연은 최근 건설 경기 악화가 2008년 금융위기 당시와 비교해 더 빠른 침체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최근 우리 경제가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든 데다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인하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선 자금 이탈 우려로 그렇게 하기도 어려운 점도 문제다.
아울러 자재 가격 급등과 인건비 상승으로 건설사 수익이 크게 떨어진 점과 가구 수 증가세 둔화로 인한 주택 수요 위축도 건설 경기가 장기간 침체되는 요인이라고 건산연은 지적했다.
건산연은 “건설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공공 발주 정상화, 도심 재정비사업 활성화 등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건설 현장의 자금 흐름이 회복되도록 해야 한다”며 “민간 자본의 적극적 활용, 공사비와 기간 현실화 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