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썰물] 부산 문화 전성시대

김승일 논설위원 dojun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전쟁 중 부산에서 제작됐다가 유실된 영화 ‘낙동강’(1952)이 발굴, 복원된 덕분에 2022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70년 만에 빛을 보게 된 건 문화사적 사건이었다. 전란 중에 어떻게 부산에서 영화 제작이 가능했던 것일까. 1000일의 임시수도 부산이 문화 수도였기 때문이다. 피란길에 오른 문학과 미술, 음악 등 문화계 인사들이 부산에 모여들었고 이들은 광복동 다방 거리 등에서 예술의 혼을 이어갔다.

영화 ‘낙동강’은 1950년 8~9월 치열했던 ‘낙동강 전투’를 소재로 한 점뿐만 아니라 당시 부산에서 학교 음악교사로 있던 윤이상이 제작에 참여한 점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프랑스, 독일 유학 이후 세계적인 거장으로 우뚝 선 작곡가의 초기 작품이 묻힐 뻔했다가 재조명된 것이다. 주제곡 ‘낙동강’은 노산 이은상의 동명 시에 곡을 붙였고, 제법 인기도 얻었다고 전해진다. 피란 시절 윤이상의 다른 작품에도 국난의 황망함이 오롯이 담겨 있다. 박목월의 시 ‘달무리’ ‘나그네’에 선율을 붙인 동명의 가곡에는 민초들의 고단한 삶이 녹아 있다는 평가다.

난리통에 부산에서 어울린 시인과 작곡가의 의기투합은 자연스러웠다. 자갈치시장 대폿집에서 술잔을 기울이던 시인 박화목과 작곡가 윤용하는 동시대인의 역경을 노래로 승화하자고 다짐했다. ‘보리밭 사잇길로 걸어가면… 옛 생각이 외로워…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 박화목이 써 온 ‘옛 생각’을 윤용하가 ‘보리밭’으로 제목을 바꿔 노래로 만들었다. 한국적 서정이 담긴 선율 덕분에 오늘날까지 애창되는 한국의 대표 가곡으로 자리잡았다. 자갈치시장 친수공간에는 ‘보리밭’ 탄생 일화와 악보가 새겨진 노래비가 세워져 있다.

전쟁통에도 예술가들은 창작을 멈추지 않았고, 피란민들을 위로했다. 그 시대의 기억을 소환하는 음악회가 열려 주목된다. 29일 오후 7시 30분 부산문화회관 중극장에서 열리는 ‘부산 전성시대’에는 피란 시절 부산에서 활동한 작곡가들의 가곡 12곡이 무대에 오른다. 동진숙 임시수도기념관장은 김동리, 유치환, 이중섭 등 문인과 화가, 작곡가의 당시 사진과 영상으로 해설을 덧붙인다. 전란 중 문화예술의 꽃을 피운 예술인들이 75년 만에 한 자리에 모이는 셈이다. 공연 기획사 ‘부산문화’는 설립 30주년을 기념해 이번 공연을 기획했다. 고난의 시대에도 찬란했던 과거를 되새기며 부산 문화의 전성시대를 이어가겠다는 취지다. ‘문화로 융성하는 부산’을 견인하는 노력이 이어지기를 기원한다.


김승일 논설위원 dojun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