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정보과 개편 1년 넘었지만… 집회 관리 효율은 ‘글쎄’
지난해 16개 구·군 6개 권역 나눠
3곳 제외 부산청 소속으로 운영
탄핵·계엄 등 대규모 집회 현장선
일선서·경찰청 총경 2명 지휘 혼선
대선 전 조직 정비 필요 목소리도
“현장은 하나인데 총경은 2명이라 현장에서 혼선이 생긴다.”
경찰 조직 개편으로 일선 경찰서 정보 기능이 부산경찰청 소속 광역정보팀으로 통합된 지 1년이 지났지만, 현장에서는 지휘 체계 혼선 등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탄핵 정국 속 대규모 집회를 겪으며 구조적 문제점이 수면 위로 드러났는데, 조직 개편 이후 업무 효율성이 이전보다 떨어졌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14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부산 경찰은 지난해 2월 조직 개편 이후 부산 15개 경찰서 가운데 동부·부산진·연제서 3곳만 정보과를 남기고 나머지는 부산경찰청 광역정보팀 소속으로 운영 중이다. 16개 구·군을 6개 권역으로 나눠 △1팀 연제·동래·금정 △2팀 북·사상·부산진 △3팀 서·중·동 △4팀 사하·강서 △5팀 남·영도 △6팀 해운대·기장 지역을 담당한다. 조직개편 이전 경정급이었던 정보과장이 팀장을, 정보계장이 부팀장을 맡는다. 사무실도 팀별로 통합해서 운영 중이다.
조직 개편 이후 평시에는 큰 문제점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일선 경찰들은 최근 탄핵·계엄 사태의 집회 관리 과정에서 혼선이 빚어졌다고 지적한다. 집회 대응은 일선 경찰서 담당이지만 1000명 이상 대규모 집회의 경우 부산경찰청 소속 정보팀이 지원한다. 안전 관리를 위한 경력 배치 권한은 일선 서에 있는 반면, 물리적 출동을 막을 대화 경찰 운용 등은 부산청이 담당한다. 현장에서 경찰청 정보과장, 일선 서장 두 총경이 활동하는데 손발이 맞지 않으면 기동력은 예전만 못한 실정이다. 이 외에도 서로 집회를 보는 시각이나 해석이 달라 의견 조율을 하느라 진땀을 뺄 때도 있다.
한 경찰 관계자는 “지난해 부경대 대학생들이 농성을 벌이다 경찰에 연행된 사건의 경우 경찰 대응을 놓고 내부서도 여러 의견이 있었다”며 “대규모 집회의 경우도 경력 운용은 결국 일선 경찰서장 관할이라 경찰청은 최종 결정에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밝혔다.
경찰 내부에서는 6·3 대선을 앞두고 조직 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치인 방문 때마다 정보팀은 경호 등을 위한 정보 수집을 하는데, 정보팀의 소속은 부산경찰청이기 때문에 관할 서장이 아닌 부산경찰청에 보고한다. 하지만 업무를 맡는 일선서 경비과도 관련 정보가 필요하다. 결국 관할서 서장에게도 끊임없이 문의 전화가 와 사실상 같은 일을 두 번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찰 정보관들이 맡은 구역이 넓어 지역 밀착형 정보 활동이 어렵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부산경찰청 관계자는 "정보과장은 현장 대응 차원에서 현장에 가 있는 것이고 현장 지휘 책임은 서장에 있기에 업무 혼란은 없다"며 "보고 체계는 이전과 달라진 게 없으며, 부산시와 시 산하 공공 기관 출입처의 경우 부산청과 일선 서에서 모두 출입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