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준, 3년 만의 귀환? 정승윤, 보수 결집 역전? 최윤홍, 10% 득표 발판?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교육감 선거 세 후보 관전 포인트

김,‘전직 프리미엄’ 4선 가능성
정, 탄핵심판 결과 파장에 촉각
최, 이름 알려 내년 재도전 타진
단일화 결렬 책임론은 불가피

4·2 부산시교육감 선거 운동 마지막 날인 1일 후보들이 부산 곳곳을 돌며 유세에 나서 시민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날 저녁에는 서면에서 마지막 총력 유세가 펼쳐쳤다. 왼쪽부터 최윤홍, 김석준, 정승윤 후보. 각 후보 캠프 제공 4·2 부산시교육감 선거 운동 마지막 날인 1일 후보들이 부산 곳곳을 돌며 유세에 나서 시민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날 저녁에는 서면에서 마지막 총력 유세가 펼쳐쳤다. 왼쪽부터 최윤홍, 김석준, 정승윤 후보. 각 후보 캠프 제공

2일 실시되는 부산시교육감 재선거는 김석준, 정승윤, 최윤홍(가나다 순) 후보의 3자 구도다. 교육감 공백 사태로 열린 이번 선거는 임기가 1년 2개월에 불과하지만 내년 본 선거의 전초전이라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다. 3년 만에 진보 교육감이 다시 돌아올지, 아니면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보수 표심이 결집해 역전할지 관심이 모인다.

■3년 만의 진보 교육감 복귀?

중도진보 진영 단독 후보인 김석준 후보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 8년간 부산시교육감을 지냈다. 2022년 4월 3선에 도전하기 위해 교육감을 사퇴했고, 그해 선거에서는 보수 단일 후보로 나선 하윤수 전 부산시교육감에 1.65%포인트(P) 차이로 석패했다. 김 후보가 다시 당선되면 3년 만에 진보 교육감이 귀환하는 셈이다.

김 후보가 당선되면 4선 가능성도 열려 있다. 현행법상 교육감은 3연임이 금지된다. 하지만 김 후보는 3선에 실패한 뒤 다시 도전하기 때문에 이 제한을 받지 않는다. 교육감은 정당이 표기되지 않기 때문에 그 어떤 선출직보다 ‘전현직 프리미엄’ 영향이 강하다. 〈부산일보〉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25~26일 부산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선 ARS 100% 방식의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 자세한 내용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결과 김 후보는 36.8%의 지지율로 가장 앞섰다. 정 후보는 26.1%, 최 후보는 10.1%를 기록했다.

■4일 선고로 보수 결집하나?

중도보수 진영 후보인 정승윤 후보가 보수 표심을 얼마나 끌어모을 수 있을지가 핵심 변수가 된다.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정 후보는 교육계 경력은 다른 후보들보다 약하다. 대신 선거 초반부터 보수층 결집에 집중하며 세를 키워 왔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가 4일 오전 11시로 예고되면서 주춤하던 보수 표심이 다시 뭉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 후보는 탄핵 정국을 기회 삼아 강성 보수층을 집중 공략했다.

정승윤 후보에게 가장 큰 악재는 ‘단일화 불발’이다. 정 후보는 지난달 초 여론조사 경선을 통해 박수종·박종필·전영근 후보를 제치고 중도보수 4자 단일 후보가 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 참여하지 않은 최윤홍 후보가 별도 출마하면서 표 분산이 불가피해졌다. 단일화 효과가 제한된 상황에서 보수 진영 집결로 얼마나 득표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득표율 10% 넘겨 내년 재기?

최윤홍 후보가 득표율 10%를 넘길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다. 최 후보는 하윤수 전 교육감과 함께 부산시교육청에서 일하며 권한대행을 지냈다. 정책 연속성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35년 교육 행정 전문가’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당선 가능성은 가장 낮게 점쳐지지만 이번 선거의 실익은 따로 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득표율이 10%를 넘으면 선거비용의 절반, 15%를 넘으면 전액을 보전받는다. 최 후보로선 이번 선거를 통해 이름을 알리고 정치적 발판도 마련할 수 있다.

변수는 ‘단일화 결렬 책임론’이다. 최 후보는 앞서 정 후보와 유선 100% 여론조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지만 지난 23일 정 후보 측의 조작 의혹을 제기하며 결렬을 선언했다. 이로 인해 보수 진영 일각에선 최 후보에게 정치적 책임이 실리는 분위기다. 만약 김 후보가 당선된다면 책임론은 더욱 부각될 수 있고 최 후보의 내년 재도전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