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40곳 중 39곳 전원 복귀…수업 참여가 ‘관건’
인제대 제외 전국 의대생 대부분 복귀
수업 참여·수강 신청 등 저조한 분위기
정부, 수업 참여도 고려해 정원 발표 전망
정부가 의대생 복귀의 ‘데드라인’으로 삼은 31일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39곳의 학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집단 휴학에 나섰던 이들이 학교로 돌아와 1년 만에 의대 정상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수업 참여 등이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또다시 파행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일 의료계와 대학 등에 따르면, 31일 기준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중 38곳에서 사실상 의대생 전원이 1학기 등록 또는 복학 신청을 마쳤다. 나머지 두 곳은 인제대와 한림대인데, 한림대는 이날 오전 4시께 학생들이 등록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제대는 이달 초까지 학생들의 복학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의대에서 복귀가 이뤄진 만큼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정원 3058명 동결 조건으로 내세운 ‘3월 내 전원 복귀’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와 대학 측은 전원 복귀의 기준을 ‘통상적으로 수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보겠다고 밝혀왔다.
그러나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부의 정원 동결 여부 판단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는 학생들이 제적을 회피하기 위해 등록·복학하고, 이후 수업에 불참한다면 복귀로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실제 몇몇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복학과 등록을 마치고도, 수강 신청에 참여하거나 수업에 출석하는 식의 실제 학업을 이어가기 위한 노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다. 동아대 의대에서는 31일 오후 11시 59분까지 학생들이 수강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했지만, 참여한 학생들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생 단체를 중심으로는 수업 거부 등 저항을 이어가겠다는 기조를 재확인하는 분위기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이하 의대협)는 지난 30일 “학생들이 모이는 한 의대협 역시 포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대회원 서신을 배포하며 투쟁 의지를 다시금 표명했다.
교육부는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 정도를 지켜보다 이르면 다음 주께 내년도 의대 모집정원을 발표할 전망이다. 만약 수업 참여가 저조해 복귀하지 않았다고 본다면, 2026학년도 모집정원이 증원을 반영한 5038명으로 결정될 가능성도 있다.
모집정원 동결 여부에 대한 결정은 늦어도 이달 말 전에 이뤄져야 한다. 2026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하려면 각 대학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이달 30일까지 신청해야 하기 때문이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