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 금맥’ 상업화 쉽지 않지만… 해양 강국들, 안전한 채굴 눈독 [71%의 신세계, 해저시대로]
니켈, 육상 전체 2.4배 매장
상업적 채굴 사례는 아직 없어
전문가 “기술력 확보 등 우선”
그린피스 회원이 노르웨이 정부의 심해광물 채굴 계획에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그린피스 제공
해저 광물은 아직 손댈 수 없는 ‘보물 창고’이다. 상당한 양이 묻혀 있지만, 기술적·경제적 문제에 더해 환경 문제까지 겹쳐 함부로 꺼낼 수가 없다.
국제해저기구(ISA)는 태평양 클라리온 클리퍼턴 해역에만 210억t 이상의 망간단괴가 있다고 추정한다. 인류가 최소 수십~수백 년 동안 쓸 수 있는 양이다. 미국 컨설팅 업체 아서디리틀은 해저에 니켈 3억 600만t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했다. 육상 전체의 2.4배 규모다. 망간은 육상의 4배, 코발트는 8배 넘게 해저에 있을 것으로 보았다. 샘플링을 통한 추산인 만큼 실제 매장량과 차이가 있겠지만, 해저에 ‘광물 금맥’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관할 밖 공해상 해저 광물 채취는 제한돼 있다.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라 ISA가 탐사 목적의 채굴만 허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31개의 탐사 면허가 발급됐는데, 중국이 5개를 받아 최대 탐사국이 됐다. 국가 차원에서 해저 개발에 나서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태평양과 인도양 등 총 3개 면허를 받아 탐사를 진행 중이다.
광물 탐사는 주로 해저 바닥으로 채굴기를 보내 광물을 수거한 뒤 파이프를 통해 해상 선박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통상 허가된 채굴량은 샘플링 수준이다.
영해가 아닌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에선 상업적 해저 광물 채굴이 가능하지만, 아직 상업적으로 안착한 사례는 없다. 2017년 일본은 오키나와 해저 열수광상 시험 채굴에 성공했지만, 상업화는 이뤄지지 않았다. 노르웨이는 2023년 EEZ 내 심해 광물 채굴을 세계 최초로 합법화했지만, 면허 발급 등은 중지한 상태다.
해저 광물 개발은 일차적으로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해저 4~6km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채굴기 제조도 어렵고 고장도 잦다. 수압·저온·미세 퇴적물 등에 강한 장비를 만드는 게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 보니 채굴 비용도 커 경제성이 나쁘다.
해저 바닥을 훑거나 파이프로 흡입한 뒤 선상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쓰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해양 생태계를 철저히 파괴하는 행위여서 실현 불가능하다. 설령 심해 로봇을 활용해 광물만 채굴한다고 하더라도, 대규모 채굴이 해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 수 없다. 노르웨이 등에서는 상업적 해저 광물 채취를 두고 여전히 환경 논쟁이 격하게 벌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해저 광물 채취는 아직 준비 단계에 있다고 평가된다. 전문가들 역시 해저 탐사 활동을 강화하면서 관련 기술들을 혁신하고 해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게 우선이라고 제안한다. 기술력이 확보되어야 경제성이 나오고, 생태계 피해 예방이 이뤄져야 지속적인 해저 자원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