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 "韓수출 올해 사상최대 7000억 달러 찍고 내년 0.5% 감소"
日 수출 규모 근접…내년 경제성장률 1.9% 전망
반도체 '성장', 자동차 '정체', 철강·석화 '위축 지속
부산항 신선대부두, 감만부두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들. 부산일보D
'슈퍼 사이클'을 맞은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7000억 달러 고지를 넘어선 뒤 내년에도 비슷한 규모를 유지할 것이라는 국책 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4일 펴낸 '2026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연간 수출액이 작년보다 2.5% 증가한 7005억 달러를 기록해 역사적 정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내년에는 올해보다 0.5% 감소한 6971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전망이 현실로 된다면 한국의 연간 수출은 올해 사상 처음으로 7000억 달러를 넘는다. 올해 1∼10월 누적 수출액은 5792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연간 수출 규모는 1995년 1000억 달러, 2004년 2000억 달러, 2006년 3000억 달러, 2008년 4000억 달러, 2011년 5000억 달러, 2021년 6000억 달러를 각각 넘기며 빠르게 증가했다.
연간 수출액이 7000억 달러대까지 오르면 한국의 연간 수출 규모가 한국보다 앞서던 일본과 유사한 수준이 된다. 한국무역협회가 국제통화기금(IMF) 통계를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연간 수출액은 2011년 8226억 달러로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추세로 2024년 7075억 달러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에 따른 부정적 영향에도 관세 대응을 위한 선 적재 수요, 인공지능(AI) 투자 확대와 관련된 반도체 수요 증가, 이미 수주한 선박 인도 물량 지속 등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산업연구원은 내년 한국 경제는 정부의 확장적 재정 기조 등으로 내수가 성장동력으로 작용해 연간 1.9%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미국 관세 부담에 따른 거시적 영향의 정도, AI 중심 정보통신기술(ICT) 경기 호조 지속 여부, 주요국 재정·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등 대외 환경 요인이 한국 경제 성장률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건설투자는 각각 전년보다 1.7%, 1.9%, 2.7%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원/달러 평균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하 등으로 인한 달러화 약세 요인의 영향 속에서 올해 평균보다는 낮은 1391.7원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주력 산업 전망은 엇갈렸다.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DDR5 등 고부가 제품의 수출 증가로 반도체 내년 수출이 4.7% 증가하는 등 반도체, IT, 바이오헬스 등을 포함한 IT신산업군 수출은 4.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세계적 공급과잉과 미국의 고율 관세로 어려움을 겪는 정유(-16.3%), 철강(-5.0%), 석유화학(-2.0%) 등 소재산업군 수출은 7.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해외 생산 및 현지 부품 조달 확대 등의 영향으로 자동차(-0.6%), 조선(-4.0%), 일반기계(-3.7%) 등의 수출이 부진하면서 기계산업군 수출도 전년보다 2.0% 감소할 것으로 봤다.
산업연구원은 "13대 주력 산업은 보호무역, 통상 환경 변화, 대미 관세 리스크에 대응할 안정적 수출·공급망 체계 구축과 함께 AI·친환경·모빌리티·스마트 제조 등 기술 전환에 대비한 경쟁력, 생산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며 "수출 시장 다변화, 세제·금융·R&D 확대, 통상 협력 및 규제 개선, 친환경·디지털 전환 촉진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