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어 경남도 국감장 선 명태균…여권, 지방선거 앞두고 공세 확대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민주당, 박완수 지사 의혹 추궁
박완수 “정치적 폄훼 의도” 반박
여권, ‘명태균 카드’로 야권 압박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28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남도청 국감에서 증인으로 나와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28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남도청 국감에서 증인으로 나와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서울시에 이어 경남도 국정감사에도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여권이 그를 앞세워 국민의힘 지방선거 후보들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이날 국감장에서는 박완수 경남지사의 공천 개입 의혹과 창원 국가산단 지정 의혹 등이 주요 쟁점으로 거론됐고, 명 씨는 박형준 부산시장의 여론조사 대납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28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박완수 경남지사의 공천 개입 의혹과 창원 국가산단 지정 의혹을 제기하며 공세를 이어갔다. 이날 민주당 이광희 의원은 명 씨에게 “국민의힘 박완수 의원을 데리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내외의 자택을 찾아가서 박 의원을 지방선거에서 경남지사 후보로 추천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사실이냐”고 질의했고, 명 씨는 “(박 의원을) 모시고 다녀왔다”고 답했다.

민주당 양부남 의원은 명 씨 처남이 경남도 출자출연기관이 운영하는 남명학사에 채용된 점을 언급하며 “명 씨 처남이 ‘덕분에 근무 잘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명 씨에게 보냈는데, 맞춤형 채용이 아닌가라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 지사는 “전문 채용 기관에 용역을 줘 공정한 절차에 따라 채용됐다고 확인된다”며 “이 내용은 국정감사 대상도 아니다. 민주당이 이 사건을 고발해 특검까지 가 있는 상황인데, 여기서 계속 얘기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나를 폄훼하겠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같은 당 이상식 의원은 명 씨를 상대로 “박완수 지사 집무실에서 창원 신규 국가산업단지 예상지에 대한 정보를 들은 적 있냐”고 추궁했다. 명 씨는 “그렇다”고 답했지만 박 지사는 “팩트가 아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질의가 이어지자 박 지사는 “지금 수사를 하시는 거냐”고 맞받았고, 여야 간 언성이 높아지자 국민의힘 서범수 감사반장이 중재에 나섰다.

이날 국감장에서는 박형준 부산시장 관련 질의도 등장했다.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명 씨에게 박 시장과 관련된 여론조사 의혹을 물으며 “강혜경 씨가 법사위 국감에 나와 명 씨가 창원국가산단 후보지 선정과 대통령실 직원 인사에도 개입했다고 주장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명 씨는 “막가자는 것. 전부 거짓말이다”며 “그 사람들(강 씨 등)은 다 ‘들었다’는 증언 증거뿐”이라고 반발했다.

명 씨는 이어 “제가 5~6년 써온 전화기를 특검이 다 들고 있다. 그래서 제가 누구와 (연락)했는지 전화번호가 입력돼 있는지 다 나온다”며 “저는 박형준이라는 사람을 모른다. (강 씨가 주장하는) 박형준은 민주당의 이언주 의원이다”고 증언했다. 이 의원이 “작년에 강 씨가 박형준 시장이 명 씨를 찾아와서 여론조사를 몇 차례 했다고 언론에 얘기했는데, 지금 본질은 박형준이 아니고 이언주 여론조사를 했다는 말이냐”고 묻자 명 씨는 “예”라고 답하며 “나는 더불어민주당이나 진보 그쪽에 있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 간다. 다 사기다”고 언성을 높였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명태균 씨를 둘러싼 공방이 서울시 국정감사에 이어 경남도청 국정감사로 이어지며 여권이 ‘명태균 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3일 열린 서울시 국정감사에서도 민주당 의원들은 명 씨를 증인으로 불러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을 집중 추궁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다음 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다음 서울시장은커녕 정상적인 사회생활도 보장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이라며 공세를 이어갔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여권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명태균 카드’를 야권 지자체장 압박용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