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 열에 아홉 “해수부, 흩어진 해양 관련 업무 통합해 부산 와야”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조사
91.8% “해수부 기능 강화” 찬성
“직원 정주 지원”엔 63.8% 동의
부산 시민 91.8%가 다른 정부 부처에 흩어진 해양 관련 업무를 해양수산부로 통합해 부산에 와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수부 조직·예산 확대에 80%가량이 동의한 데 비해 해수부 직원들의 정착 지원에 대해서는 60%대의 동의율을 보여 부산으로 이전하는 기관·기업 직원들의 정착 지원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넓힐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는 지난 5~7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 해양수도 부산 발전 방향에 대한 시민 여론조사’를 실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조사는 국립부경대 교원기업 올댓E&R이 맡아 시민 500명에 대해 온라인 조사 방법으로 시행됐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4.4%P다.
조사에서 해수부 업무 범위를 해양 전반으로 넓혀 통합적인 해양 정책이 집행돼야 한다는 데 대해 91.8%가 동의, 2.8%가 부동의, 5.4%가 ‘모르겠다’고 답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정책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87.8%가 동의, 4.6%가 부동의, 7.6%가 ‘모르겠다’고 답했다.
해수부 조직·예산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는 78.2%가 동의했고, 6.2%는 부동의 6.2%, 15.6%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는 해양 관련 업무를 통합해 이전해야 한다는 의견에 비해 조직·예산 확대 동의율이 낮게 나온 데 대해 업무 범위가 넓어지면 인력과 예산 확대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시민들에게 좀 더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 밖의 해양수도 관련 정책은 대부분 80% 후반대 이상의 높은 동의율을 보였다.
해수부 산하기관 부산 이전에는 89%가 동의했고, 해사법원 부산 설치에 대해서도 90.6%, 해운기업을 비롯한 해양 관련 기업 부산 이전 필요성에 대해서도 87.6% 동의율을 보였다.
‘북극항로 개척을 위해 부산항이 거점 항만이 되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도 89.8%가 동의했고, ‘해수부와 관련 기관·기업 부산 이전, 해사법원 설치, 북극항로 개척 등이 추진되면 부울경을 비롯한 남부권 지역 발전에 영향을 준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도 91.6%가 동의했다.
하지만 부산으로 옮겨올 해수부 직원들에 대한 주거, 교육, 교통 등에 대한 지원 필요성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63.8%만 동의했고, 부동의율도 24.4%에 이르렀다. ‘모르겠다’는 답은 11.8%였다.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는 이에 대해 “해수부 외에도 산하 기관과 해양 유관 기업들이 순차적으로 부산으로 이전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부산시와 정부, 시민사회가 시민적 이해와 공감을 더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