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체계 개편 나선 소방, 승진·징계·의전 모두 한 사람이 맡는 구조 손본다
부산소방재난본부 인사체계 개편 나서
속보=상반기 인사 과정에서 청탁 정황이 드러나 해당 직원들에 대한 징계 절차를 진행 중인 부산소방재난본부(부산일보 9월 3일 자 2면 등 보도)가 인사체계 개편에 나선다.
부산소방재난본부(이하 본부)는 인사 운영체계 개편과 비위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전 직원 대상 의견수렴에 나섰다고 15일 밝혔다. 의견수렴 분야는 △인사운영 공정성 강화 방안 △본부 행정계장 보직관리 방안 △본부 행정계 업무분리 방안 △기타 조직문화 개선, 인사권 확립, 인사제도 혁신 등이다.
이번 대책 마련은 지난 6월 본부 상반기 인사에서 인사 담당 부서 직원 2명이 특정 직원 인사를 청탁한 것이 내부 감찰처분심의위원회 결과 확인되면서 시작됐다. 위원회는 담당 부서 계장인 A 소방령에 대해 중징계, 주임인 B 소방위에 대해 경징계 의견을 냈다. 최종 징계 수위는 징계위원회를 통해 확정된다.
본부는 조직의 폐쇄적인 구조를 개선하고 인사운영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본부전입, 전보, 승진심사과정 등 전반에 대해 구성원들의 의견을 듣기로 했다. 다면평가 운영방법, 심사위원 구성과 운영 전반도 돌아본다. 본부 행정계장 보직에 대해선 임기제·순환보직제 도입 여부를 검토한다. 소방행정계 업무 분리를 위해 인사업무와 서무업무를 분리하는 소방청 모델을 적용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번 인사 개편으로 소방행정계장의 권한이 분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현재 본부의 인사체계에선 소방령인 소방행정계장이 의전과 행사는 물론 승진, 전보, 평점, 징계 등 인사 전반에 대해 막대한 권한을 행사한다. 현재 본부는 소방행정계장을 내부 공모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전직 소방관이 퇴직 후에도 인사와 징계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도 개선 필요성이 높은 항목으로 꼽힌다. 승진, 징계위원회에 전직 소방 간부가 위원으로 들어가면서 퇴직 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해 일종의 소방 조직 내 파벌 문화 등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부는 오는 17일까지 의견을 취합한 뒤 수렴된 의견을 종합 검토하고 ‘부산소방 인사혁신 종합대책’을 수립해 제도 개선에 반영할 예정이다. 본부 관계자는 “본부 전입 심사 기준을 설정해 사전 예고한 후 부서별 선발하는 공개모집 제도로 변경하겠다”며 “합리적이고 적합한 인사제도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