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방치된 침례병원, 민간 매각보단 공개 토론을”
건강사회복지연대, 5일 논평 발표
침례병원 미래 논하는 토론 제안
지지부진한 침례병원 공공화 사업에 일각에서 민간 매각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자 시민단체가 반대 입장을 드러내며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공개 토론을 제안했다.
건강사회복지연대(이하 복지연대)는 5일 논평을 내고 “부산시에 필요한 것은 넘쳐나는 민간병원이 아니라 시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줄 든든한 공공병원”이라며 “공개적인 토론과 숙의를 통해 구 침례병원의 미래가 결정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침례병원은 지난 2017년 7월 경영난으로 폐업한 이후 현시점까지 사실상 방치됐다. 부산시와 지역 정치권은 침례병원을 공공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 왔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지지부진하다. 코로나19와 의료 파업, 12·3 계엄, 조기 대선으로 인한 정권 교체까지 국가적 현안이 잇따르면서 침례병원 공공화 논의가 후순위로 밀려났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침례병원을 신속하게 정상화하려면 민간에 매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를 두고 복지연대는 “수익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민간병원은 돈이 안 되는 중증·응급 환자를 기피할 것”이라며 “결국 ‘응급실’ 간판만 걸고 수익성을 좇는 ‘무늬만 종합병원’을 유치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시가 매년 관리비 1억 원을 쓰면서 (침례병원을) 지켜온 이유는 공공자산 매각이 얼마나 위험하고 큰 논란을 불러오는지를 알기 때문”이라며 “혈세로 매입한 공공자산을 민간에 넘기는 것이야말로 낭비이자 특혜 시비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복지연대는 침례병원 민간 매각을 막기 위한 부산시의 적극적인 대응과 공론화 장 마련을 요구했다. 지역 정치권이 민간 매각을 제시할 동안 지지부진한 공공화 사업을 정상화하기 위한 시의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복지연대의 입장이다.
복지연대는 “시와 시의회는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전담 TF와 범시민 공론화위원회를 즉시 구성하고 침례병원 부지 매입을 결정한 박형준 부산시장은 직접 중앙 정부 설득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각계각층의 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하는 공개토론회를 개최하라”며 “시는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