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지키라” vs “확 디비라”… 예측불허 부산 민심 어디로 [2026 지방선거 대전망]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사상 두 번째 ‘탄핵 대선 후 지선’
정부 지역공약 이행이 핵심 변수
민주 “압승 거둔 2018 재현 기대”
부산 지역 민심 탈환에 사활 걸어
국힘 “부산 시민 삶 개선에 만전”
쇄신 통한 조직 재정비 팔 걷어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오후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발생한 경남 산청군 산청읍 부리마을에서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오후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발생한 경남 산청군 산청읍 부리마을에서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지방선거는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 후 1년 만에 치러진다는 점에서 2018년 지방선거와 상황이 닮았다.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보수 텃밭인 부산에서 처음으로 지방선거 압승을 거뒀다. 내년 지방선거를 1년을 채 남겨놓지 않은 현 시점에서 2018년 지방선거가 세간에 자주 거론된다. 내년 선거가 2018년 선거를 재현할지의 여부에 지역 정계는 물론 시민들의 관심이 쏠리기 때문이다.

최근의 국내 정치 상황은 △대통령 탄핵 이후 혁신 없는 보수 정당의 지지율 추락 △적폐 청산과 내란 청산이라는 정부 기조 △임기 초반 PK에서 과반이 넘는 대통령 지지율 등에서 지난 2017~2018년의 상황과 비슷하다. 이에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어게인 2018’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번 대선에서 부산은 여전히 보수세가 강하다는 점이 확인되며 2018년과는 다르게 민주당과 국민의힘 어느 쪽도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단 해석도 나온다.

2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번 대선 부산에서 40.14%를 득표했다. 비록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51.39%)와 11.25%포인트(P) 격차로 부산에서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역대 민주당 계열 대선후보 중 처음으로 부산에서 ‘마의 40%’ 벽을 넘겼다.

2017년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의 부산 득표율은 38.71%에 머물렀다. 그리고 이듬해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부산시장은 물론 16개 구·군 단체장 중 서구·수영구·기장군을 제외한 13석을 차지했다. 당시 보수 정당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민주당이 승리한 13개 구 중 12곳(동래구 제외)에서 민주당은 보수 2개 당의 득표율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득표율을 올렸다. 정당 지지도를 유추해 볼 수 있는 광역비례 대표 정당 득표율도 민주당이 48.81% 득표율을 기록하며 자유한국당(36.73%)과 바른미래당(6.73%) 합산보다 5.35%P 앞섰다. 압도적 승리였다.

2017년 대선 때보다 올해 대선에서 더 많은 득표율을 거둔 만큼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어게인 2018’을 자신하는 목소리가 민주당 내부에서 들려오는 것도 당연하다.

문 전 대통령은 보수 정당의 분열과 적폐 청산이라는 시대정신에 대한 시민 공감대로 PK에서 70% 후반대 지지율로 임기를 시작했다. 이후 2018년 남북정상회담·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 무드 구축이라는 대외 성과로 지방선거 승리를 견인했다. 이 대통령도 국정 초반 안정적인 정국 운영에 보수 정당의 지지율 추락까지 보태져 각종 여론조사에서 임기 초 PK 지역에서 과반을 넘는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더해 해양수산부 이전 등 부산 공약의 빠른 실현으로 긍정적인 지역 여론을 끌어올리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내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의 승리를 낙관하긴 이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또한 근거는 지난 6월에 치러진 대선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번 대선에서 이 대통령은 부산 16개 구·군 중 강서구 1곳에서만 승리했다. 이마저도 보수 정당으로 분류되는 개혁신당과 국민의힘 득표율을 합치면 강서구에서도 패배하는 결과가 나온다. 비상계엄과 국민의힘 내홍 등으로 부산에서도 민주당으로 표심이 쏠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기대에 못 미친 성적표를 받은 것이다.

정작 부산 전체 득표율에서는 모자랐던 문 전 대통령이 2017년 대선 당시 부산 구·군 중 원도심 3곳(동구·서구·중구)을 제외한 13곳에서 승리를 거둔 점과 대조적이다. 정치적 양극화 심화와 민주당을 향한 견제 심리 등 보수 결집 강도가 세지면서 기존의 정치 지형이 공고해졌단 해석이다. 만일 지난 6월 대선 당시 진보와 보수를 선택한 표심이 그대로 내년 지방선거로 이어진다고 가정한다면 오히려 국민의힘 압승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결국 양당 중 어느 당이 현 상황을 더 무겁게 여겨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내년 선거를 준비해느냐가 선거의 성패를 가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민주당은 부산 민심을 잡기 위해 성과를 내겠다는 각오이고, 국민의힘은 쇄신을 통해 조직을 재정비해 수성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부산 민주당 관계자는 “해수부 이전 등으로 지역에서 마음의 문을 열고 있다. 부산 공약 실현으로 유권자 마음을 얻을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 국민의힘 관계자는 “부산 시민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쇄신과 변화에 나설 것이고 시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정당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