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속으로] 시즌 오케스트라·발레단 ‘케미’ 남달랐던 ‘헬로 발레’

김은영 기자 key66@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콘서트홀 첫 발레 갈라 콘서트 ‘감동’
시즌 오케스트라·발레단 협업 시너지 커
김주원 해설·김광현 발레 음악 지휘 ‘호평’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공연 중 '샤이닝 웨이브' 파드되. 클래식부산 제공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공연 중 '샤이닝 웨이브' 파드되. 클래식부산 제공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공연 중 '백조의 호수' 흑조 듀엣. 클래식부산 제공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공연 중 '백조의 호수' 흑조 듀엣. 클래식부산 제공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공연 중에서. 클래식부산 제공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공연 중에서. 클래식부산 제공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공연 중에서(클래식부산 제공)


지난 6월 부산콘서트홀 개관 이래 메인 콘서트홀에서 열린 발레 공연은 처음이다. ‘갈라 콘서트’ 형태지만, 라이브로 연주한 63인조(당초 55인조에서 악기가 추가되며 늘어남) 오케스트라에 맞춰 선보인 발레 공연 덕분인지 관객들의 감동은 배가 됐다. 특히 부산오페라하우스 시즌 발레단 예술감독을 맡고 있는 김주원의 재치 있는 해설과 2025 시즌 클래식부산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을 맡은 김광현의 숙련된 발레 음악 지휘로 발레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었다.

공연은 하차투랸 발레 음악 ‘스파르타쿠스’ 연주로 시작해 ‘백조의 호수’ 2막 중 아다지오(김희현·홍주연), ‘파키타’ 솔로(배수현)와 솔로 큐피드(류슬아), ‘백조의 호수’ 흑조 듀엣(이주호·장윤서), ‘호두까기 인형’ 스노우 파드되(김희현·장유빈), ‘라 실피드’ 파드되(곽지오·김동현) 그리고 ‘샤이닝 웨이브’ 솔로와 파드되(윤전일·정혜윤)에 이르기까지 총 7번의 갈라와 마지막 ‘Joy To The World’ 음악에 맞춘 커튼콜 무대까지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됐다. 야심 차게 준비한 파이프오르간 프로젝션 매핑은 생각만큼 효과적이진 않았지만, 다소 심심할 뻔한 무대에 활력소는 되었다.

사실 부산콘서트홀은 발레 전막 공연을 선보일 수 있는 무대는 아니다. 오케스트라 피트가 별도로 있는 프로시니엄 극장이 아니다 보니 이번처럼 발레 갈라 콘서트를 할 땐 춤추는 발레리나·발레리노 뒤로 오케스트라를 배치하고, 지휘자는 음악 연주와 무용수 움직임 양쪽을 체크하며 이끌어야 해 여간 힘든 게 아니다.

11월 14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커튼콜 모습. 김은영 기자 key66@ 11월 14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커튼콜 모습. 김은영 기자 key66@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백스테이지 모습. 동영상 캡처 11월 14~15일 부산콘서트홀에서 열린 ‘헬로(HELLO) 발레-발레의 초대’ 백스테이지 모습. 동영상 캡처

그런데도 국내 그 어떤 지휘자보다 발레 음악 지휘 경험이 풍부한 김광현 음악감독이었기에 공연은 성공적이었다. “무용수 움직임과 음악 템포를 맞추느라 발레 공연 내내 무용수 발만 봤다” “아예 춤 동작을 다 외웠다”는 김광현 지휘자의 언급이 빈말이 아니었듯, 이번 공연은 시즌 오케스트라와 시즌 발레단 단원 간에 형성된 교감이 꽤 빛났다. 덕분에, 클래식 음악 연주가 발레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그 시너지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오는 2027년 부산오페라하우스 개관 때까진 본의 아니게 ‘한 지붕 두 가족’으로 지내야 할지 모르는 이들 간 협력도 더욱더 깊어지길 기대하는 마음도 커졌다.

한편 백스테이지 풍경이었지만, 공연을 마친 뒤 먼저 무대 뒤로 빠져나온 무용수들은 대기실로 향하지 않고, 양쪽으로 나눠 서서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다 빠져나올 때까지 박수로 감사를 표시해 눈길을 끌었다. 공연 이틀 동안 1층 1005석을 오픈한 가운데 14일 객석점유율 91%(915석), 15일 96.6%(966석)로 평균 93.5%로 집계됐다. 시즌 발레단을 담당하는 클래식부산 윤여창 제작 PD도 “제작극장으로서 한발 한발 가고 있는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김은영 기자 key66@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