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일상 속 ‘15분 도시’ 정책 효과 더 꼼꼼히, 정확히, 다양하게 살핀다 [15분 도시 공간에서 사람으로]
부산시, 15분 도시 사업평가 지표 정비
탄소 중립·시민 삶 개선 반영 수치 보완
부산시는 다음 달 25~26일 부산시청에서 15분 도시 스텝 업(Step Up)’ 전략 선포식을 개최한다.지난 25일 도모헌에서 ‘15분 도시, 문화예술로 잇다’를 주제로 열린 토크콘서트.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15분 도시’ 정책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지표 고도화에 나선다. 앞서 통신사 등과 협업해 15분 도시 지수를 개발·공개했지만, 아직 정책 기획의 판단 근거로는 본격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생활 SOC의 수나 면적 등 시설 중심으로만 결과가 언급돼 정책의 목표인 ‘시민 생활의 변화’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한계도 있었다. 시는 학계와의 협업 체계를 갖춰 15분 도시 지표를 고도화하며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발전시키겠다는 방침이다.
29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2023년 SKT와 협약을 맺고 15분 도시 대표 생활권인 당감개금권, 괘법감전권, 신평장림권을 대상으로 100m 단위 격자 분석을 적용한 6개 세부 지표를 개발했다. 이 데이터는 통신 기반 이동정보와 공공데이터를 결합해 산출됐고, 접근성·연대성·생태성 등 세 가지 주제 아래 각 2개 지표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는 접근성 △15분 서비스권 내 인구비율 △보행수송분담률, 연대성 △공유공동체 플랫폼 참여 수 △15분 도시 시설활용도, 생태성 △1인당 공원 면적 △자전거·PM 등 수송분담률이다.
대표적인 당감개금권의 경우 올해 7월 기준 보행 수송분담률은 25.2%, 자전거 등 수송분담률은 12.81%, 15분 도시 시설 활용도는 38.4%로 나타났다. 시는 지난해 1월부터 매달 ‘15분 도시 지표’ 홈페이지를 통해 이같은 측정 결과를 공개하며 변화를 추적 중이다. 다만 올 8월부터는 데이터 제공 통신사가 KT로 바뀌면서 연속성 확보 등 작업으로 제공되지 않고 있다.
시는 도시 데이터를 축적하는 한편 국내외 연구진 및 대학과 협업해 지표 분석 체계 정비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현재는 지표가 향후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지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접근성 중심의 도시 구조 개편이 비교적 최근 개념이라 세계적으로도 15분 도시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통일된 기준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부산 또한 자체 지표를 개발해 처음으로 수치를 기록한 만큼 정책 시행 전후 비교가 어렵다는 고민이 있었다.
시는 탄소중립 관련 항목이나 시민 삶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는 지표를 추가해 보완하는 등 고도화를 목표로 두고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러한 계획은 11월 말 발표될 15분 도시 ‘스텝 업’ 전략에도 담길 것으로 기대된다.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학계 연구가 함께 이뤄진다면 15분 도시 정책이 더욱 확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부산 도시계획 전반 차원에서 15분 도시 개념이 지속가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나갈 계획”고 말했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