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6일제 폐지하라”… 부산지하철 청소노동자 노사 갈등 격화
부산교통공사 자회사 근로자들, 4일 기자회견
“주 6일·야간연속 근무환경 개선하라” 촉구
교통공사 측 “자회사 노사 자율 해결 바람직”
부산 지하철 청소노동자들이 장시간·야간연속 근로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오는 17일 파업을 예고하고 나섰다.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운영서비스지부(이하 노조)는 4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파업을 위한 결의대회를 열고 현행 “주 6일·야간연속 교대근무 체제를 주 5일·4조 2교대 방식으로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부산교통공사 자회사인 부산도시철도운영서비스 소속으로, 부산 지하철 역사와 차량 청소, 경비, 시설관리, 콜센터 업무 등을 맡고 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200여 명의 조합원이 참석했다.
노조는 최종 교섭이 결렬될 경우 오는 17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앞서 노조는 지난달 14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으나 지난 3일 조정 중지 결정을 통보받으면서 합법적 파업권을 확보했다.
노조는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투표 결과 전 조합원 941명(교섭대표 노조인 1노조 소속) 중 862명이 참여해 799명(92.7%)이 찬성표를 던지며 파업을 확정했다.
이들은 주 6일 근무와 야간연속 교대 근무로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며 근로환경 개선 없이는 안전한 지하철 서비스도 담보할 수 없다고 호소한다. 노조에 따르면 운영서비스 소속 근로자는 총 1166명이다. 이 중 주 6일 근무와 야간연속 교대근무를 함께 하는 인원은 886명으로 전체의 76%에 달한다.
노조 박영준 사무국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내세운 주 4.5일제 도입이 논의되고 있지만, 9차례 교섭에도 사측이 근본적인 개선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문제 해결에 있어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노조법 2·3조가 개정되면서 원청이 실질적으로 근로 조건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성이 인정된다”고 덧붙였다.
부산교통공사 측은 자회사인 부산도시철도운영서비스의 근로환경이 서울과 대구 지하철 자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고 반박한다. 이번 사안은 자회사 노사가 자율적인 협의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공사 관계자는 “본사 차원에서도 청소노동자들의 근로환경 개선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인식하고 임금과 복리후생을 지속적으로 개선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자회사의 경영 여건과 인건비 구조를 고려할 때 본사가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자회사 노사가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가는 것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