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20kg당 6만 원 돌파…농식품부 “더 오르지 않도록 관리”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일 기준 20kg 소매가격 6만 294원
1년 전보다 17%, 평년보다 14% 올라
농식품부, 쌀값 안정 위해 할인폭 확대

쌀 소매가격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20kg당 평균 6만 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서울 한 대형마트 쌀 매대 모습. 연합뉴스 쌀 소매가격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20kg당 평균 6만 원을 넘어섰다. 사진은 서울 한 대형마트 쌀 매대 모습. 연합뉴스

쌀 소매가격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20kg당 평균 6만 원을 넘어섰다.

쌀값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민감한 물가다. 쌀값이 떨어지면 농업인들의 소득이 줄어들어 가격 하락을 막아야 한다.

그렇다고 해도 쌀값이 계속 오르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커 이를 방치할 수는 없다. 시장에 맡겨 놓는 가격이 아니라 적정수준이 되도록 항상 관리해야 하는 물가인 것이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집계에 따르면 2일 기준으로 쌀 20kg 평균 소매가격은 6만 294원으로 1년 전보다 17.2% 상승했다. 이는 평년보다 14% 비싼 가격이다.

쌀값은 지난 7월 오름세가 가팔라져 7월 말 한때 6만 원을 웃돌았다가 정부가 8월 1일부터 할인 지원에 나서자 5만 9000원대를 유지했다. 그러다 이달 들어 한 달 만에 다시 6만 원대로 올라선 것이다.

지난 달 일부 지역 개별 마트 매장에서는 쌀 20kg 한 포대를 7만∼8만 원대에 팔기도 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쌀 소매 가격 6만 원은 소비자들이 비싸다고 느끼는 저항선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쌀은 햅쌀 출하를 앞둔 상황에서 고공행진하고 있다.

통계청이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도 쌀은 작년 같은 달 대비 11% 상승해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를 부추겼다.

재고가 부족한 산지 유통업체들이 원료 벼를 확보하려고 경쟁을 벌이는 것이 쌀값 상승의 배경이다. 농식품부는 재고 부족 수준인 정부 양곡 3만 t(톤)을 대여 방식으로 산지 유통업체에 공급 중이다.

농식품부는 대형 유통업계 할인 행사를 통해 소비자 쌀값 안정을 시도했지만,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자 할인 폭도 확대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쌀값 할인 폭을 20kg당 4000∼5000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할인 금액은 3000원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양곡 대여와 할인 행사를 통해 쌀값이 더 오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