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훈의 시그니처 문화공간 이야기] 바그너 단 한 사람을 위한 축제극장
독일 최고의 음악 축제로 여겨지는 '바이로이트축제'는 전 세계 모든 클래식 공연 중 가장 티켓 구하기가 까다롭다. 반드시 우편으로 신청해야 하며 장기간 대기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완화되었지만, 한동안은 개인적으로 구매하려면 수년에서 10년 이상 기다려야 한다는 말까지 나돌았다. 물론 일부 티켓 대행사를 통해 구할 수도 있지만, 장당 1000유로가 넘는 대행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또한 티켓에는 반드시 기명이 되어 있어, 양도 시 축제극장 티켓 사무실에서 이름을 바꾸어야 하는 절차상의 어려움도 있다. 때로는 바그너 협회를 통해서 구할 수도 있다.
독일 바이에른주 북부 인구 7만 명의 작은 도시 바이로이트에서는 해마다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바이로이트축제가 열리는데, 작곡가 바그너의 오페라만이 무대에 올려진다. 그것도 바그너의 유언에 따라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탄호이저, 로엔그린, 트리스탄과 이졸데, 뉘른베르크의 명가수, 니벨룽겐의 반지 그리고 파르지팔만이 무대에 올라간다. 음악극이라는 자신만의 음악적 형식이 구축되기 전 초기작품은 무대에 오르지 못한다. 이는 1876년 니벨룽겐의 반지 4부작 중 라인의 황금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다. 베르디, 도니제티, 로시니 오페라 축제에서도 해당 작곡가의 공연만이 상연되지만, 이는 축제기간에 한정된다. 평상시는 다양한 레퍼토리의 공연과 오페라가 공연된다. 물론 푸치니 축제가 열리는 토레델 라고의 극장에서는 푸치니의 작품만이 공연되지만, 조립식 팝업극장이다. 하지만 객석 수 1927석의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은 오로지 바그너의 오페라만이 무대에 오르며, 바그너의 유지에 따라 바그너 가문이 현재까지도 축제극장을 운영하고 있다.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은 독일의 건축가 고트프리드 젬퍼에 의해 설계되었다. 하지만 일반적인 극장과 다르게 오페라 가수의 목소리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오케스트라 피트가 무대 하부에 깊숙이 배치되어 있다. 이는 기획부터 설계까지 관여한 바그너의 의견이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한여름에 개최되는 축제임에도 일체의 공조 시설이 없다. 냉방 없이 6시간이 넘는 바그너의 오페라를 만나야 된다는 이야기이다. 그럼에도 바이로이트축제는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150년 이상 사랑받고 있다. 바그너 오페라를 좋아하는 이른바 바그네리안의 성지이기 때문이다. 올해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은 단연 로엔그린이다. 덩달아 가장 표를 구하기 어려웠던 공연 중 하나였다. 독일 적통 지휘자 크리스티앙 틸레만이 지휘하고, 표트르 베찰라가 로엔그린 역을 맡아서 화제가 된 작품이다. 건강상의 이유로 베찰라 대신 클라우스 플로리안 포크트가 무대에 올랐지만, 문제는 없었다. 포크트는 오랫동안 바이로이트축제와 인연을 맺어온 스타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오후 4시에 시작한 공연은 10시가 넘어서 끝이 났다. 긴 시간 힘들었던 관람 환경에도 공연 마치고 30분 이상 박수갈채가 펼쳐졌다. 역사와 전통이 이어지는 축제가 부러웠다. 이상훈/아트컨시어지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