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혁신안’ 두고 커지는 파열음… “언제까지 사과” “이런 분 쇄신 0순위”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계엄 사죄 당헌에 수록 1호 혁신안 두고 주류 “언제까지 사과만”
윤 위원장 13일 “더 사과 필요없다는 분 당 죽는 길로 밀어” 직격
논란 확산, 계파 간 전운 짙어지면서 전대 전 쇄신 물거품 우려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13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회’의 활동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커지고 있다. 계엄·탄핵에 대한 ‘대국민 사죄’를 당헌·당규에 수록하는 1호 혁신안은 주류인 구 친윤(친윤석열)계로부터 “언제까지 사과만 하느냐”는 반발에 직면했고, 당 대표 단일 지도체제로 전환하자는 2호 혁신안은 비주류인 안철수 의원마저 “역주행”이라며 반발했다. 전당대회까지 한 달 안에 성과를 내야 하는 혁신위의 ‘조급증’이 문제라는 지적과 ‘차, 포 다 떼고 무엇으로 혁신하느냐’는 반박이 어지럽게 충돌하는 양상이다. 최근 당 지지율이 20% 아래까지 추락했지만, 혁신을 통한 반등을 기대하기는 여전히 어려워 보인다.

안철수 의원이 당 지도부의 ‘인적 쇄신’ 거부를 이유로 사퇴하는 우여곡절 끝에 지난 9일 출범한 윤희숙 혁신위는 1호 혁신안으로 대국민 사죄의 당헌·당규 수록을 제시했고, 곧바로 2호 혁신안으로 현재의 최고위 체제를 폐지하고 당 대표 단일 지도체제로 의사 결정 구조를 전환하는 방안을 채택했다. 혁신위의 속도전은 최근 일부 여론조사에서 당 지지율 20%선이 붕괴되는 등 지지층 이탈이 가속화하는 상황에 대한 위기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두 혁신안은 곧바로 구 친윤계의 반발에 부딪쳤다.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나경원 의원은 “의견수렴 없는 혁신안은 갈등과 분열을 되풀이하는 자충수”라고 반발했고, 장동혁 의원은 계엄·탄핵 반성에 대해 “언제까지 사과만 할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여권이 특검을 앞세워 국민의힘 다수 의원을 ‘내란 공범’으로 몰아가는 상황에서 당헌·당규에 사죄를 쓰면 내란을 자백하는 꼴이 된다는 게 이들의 인식이다. 여기에 2호 혁신안에 대해서는 주류 측과 강하게 대립해온 안철수 의원마저 “당원의 최고위원 선택권을 빼앗아 대표에게 헌납하는 것은 당내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그러나 혁신위는 이런 비판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뇌관인 ‘인적 청산’까지 거론하며 ‘마이 웨이’를 외쳤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13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더 이상 사과와 반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분들은 당을 죽는 길로 밀어 넣는 것”이라며 “탄핵의 바닷속으로 머리를 쳐들지 못하게 누르는, 이런 분들이 인적 쇄신의 0순위”라고 직격했다. 앞서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이날 한 방송 인터뷰에서 “(혁신위가) 인적 청산을 먼저 얘기했는데, 일의 순서가 거꾸로 된 것 같다”며 제동을 걸었지만, 개의치 않겠다는 태도다.

윤 위원장은 인적 쇄신 범위와 대상과 관련, △대선 실패 △ 대선 후보 교체 시도 △ 대선 후보의 단일화 입장 번복 △ 계엄 직후 의원들의 대통령 관저 앞 시위 △ 당 대표 가족 연루 당원 게시판 문제 △ 22대 총선 당시 비례대표 공천 원칙 무시 △ 특정인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 △ 지난 정권서 국정운영 왜곡 방치 등 8대 사건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처럼 혁신안을 둘러싼 계파 갈등이 재점화될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당 지도부가 당내 의견 수렴 절차를 내세워 쇄신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곧 시작되는 전대 국면에서 쇄신안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당내 무력감과 위기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지적 또한 적지 않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