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젠다 주도부터 물밑 접촉까지 ‘해수부 동구행’ 곽규택 역할 주목
SNS 통해 위상 강화 등 의제 발굴
수산 담당 2차관 신설 지역서 주목
물밑선 실무진까지 만나 목소리 청취
각 기초단체의 치열한 유치전에도 해양수산부가 임시로 부산 동구에 둥지를 틀게 된 데에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역할이 있었다. 국민의힘 곽규택(사진·부산 서동) 의원은 대외적으로는 해수부 기능 강화 등 단순 물리적 이전을 넘어선 적극적인 아젠다 발굴에 나섰으며 물밑에서는 직원들을 상대로 설득 작업을 펼쳤다.
13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곽 의원은 해수부 부산 이전 논의가 본격화되기 전부터 기능과 위상 강화 그리고 조직 재설계 등의 필요성을 선제적으로 강조했다. 이러한 해수부를 향한 곽 의원의 남다른 애착은 수면 아래의 움직임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그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해수부 부산 이전의 막연한 당위성을 주장하지 않고 직원들을 대상으로한 설득전에도 적극적이었다. 곽 의원실에 따르면, 그는 해수부 고위관계자는 물론 실무진까지 일일이 만났으며 일회성이 아닌 수차례 접촉을 이어가며 거주지를 옮겨야 하는 직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이를 토대로 직원들이 요구하는 입지 타당성과 정주 여건, 교통 접근성, 업무 연계성 등에 동구가 적임지임을 일관되게 주장했다.
특히 곽 의원은 이 중 서울에서 세종으로 한 차례 거주지를 옮긴 해수부 직원들이 부산으로 재이주하는 데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점을 적극 공략했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 등을 통해 재이주로 인한 주거비, 가족 분리, 자녀 교육문제 등 직원들의 불편함을 선제적으로 공론화, “기능 이전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직원들의 정착과 만족도를 함께 고려해야 진짜 성공”이라는 점을 강조해왔다. 이를 위해 부산시 조례 제정을 통한 정주 지원 근거 마련 외에도 △체재비·교통비 보조 요구 △생활 인프라 확충 촉구 등 대책 마련에도 나선 바 있다.
곽 의원은 임시 청사 유치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해수부의 완전한 이전과 조직 개편 그리고 그간 강하게 주장해 온 수산 담당 2차관 신설 등의 로드맵 마련에 총력을 쏟는다는 구상이다. 곽 의원은 “해양수산부의 중심이 단순히 남하하는 것이 아니라 해양 중심 국가전략의 재편이라는 의미를 담아야 한다”며 “이제는 해사법원 유치, HMM와 같은 민간 해양물류기업 동반 이전을 통해 해양클러스터 완성까지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