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밀양캠퍼스 학문단위 구조 개편 추진… AI시대 교육혁신 및 학생 전공선택 강화 조치

우희철 부산닷컴 기자 woohc@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26학년도부터 나노대 및 생자대 일부 학과 이전…내년 신입생부터 적용돼
교육부 전공자율선택제 확대 등 정부 정책에 따른 첨단분야 양성 위한 학문단위 개편
밀양시와 협의체 가동 지역사회와 협력 강화 추진…지역상생 활성화 방안도 모색

부산대학교는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환경의 급변, 정부의 교육정책 기조, 그리고 AI시대 학생들의 전공선택권 확대 필요 등에 따라 2026학년도 1학기부터 밀양캠퍼스의 일부 학과를 부산캠퍼스와 양산캠퍼스로 이전하게 된다고 17일 밝혔다.

부산대 밀양캠퍼스 여러 학과 중에서 나노과학기술대학 소속 3개 학과와 생명자원과학대학 2개 학과가 이전 대상으로, 나노과학기술대학의 3개 학과는 부산캠퍼스 학부대학 산하 첨단융합학부로 재편하고 생명자원과학대학 2개 학과는 신설되는 양산캠퍼스 응용생명융합학부에 소속되는 학문단위 구조 개편이 이뤄진다.

다만 이런 내용의 학제 개편은 내년 신입생부터 적용되며, 기존 학생들은 예전과 동일하며 변동이 없다.

이번 부산대의 학문단위 구조 개편 추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노과학기술대학 3과-나노에너지공학과,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부산캠퍼스 학부대학 첨단융합학부로 재편

(생명자원과학대학 2과-동물생명자원과학과, 식물생명과학과) 양산캠퍼스 의생명 특화 전략에 따라 응용생명융합학부(그린바이오과학전공, 생명자원시스템공학전공) 신설.

부산대의 이번 학문단위 구조 개편은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방대학 위기 대응 △정부의 교육정책 기조, 그리고 △첨단 AI시대에 따른 교육수요의 변화와 학생들의 전공선택권 확대 등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이다.

특히, 교육부의 2026학년도 전공자율선택제 확대 시행 및 첨단분야 정원 조정 정책에 맞추어 첨단분야 인재양성 및 학문단위 구조 개편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학생들의 전공선택권 강화를 위해 학문단위 구조 개편을 추진하게 됐다.

부산대는 ‘2024학년도 국립대학육성사업 평가’에서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 참여율이 낮아 ‘최하위 등급’을 받는 바람에 다른 주요 국립대에 대비해 약 60억 원의 정부재정 지원이 삭감돼 대학운영 전반에 걸쳐 큰 어려움이 발생했고, 이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교육에 투입할 자원 감소로 학생들에게 피해가 전가되면서 전공 선택권 확대와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학문단위 구조 개편이 부득이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부산대 관계자는 “또한 요즘 급격하게 변화하는 AI시대 기술과 사회, 교육정책의 변화에 대학이 발 빠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교육과 연구, 대학경영, 국제화에 필요한 자원의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며 “사회적, 시대적 흐름에 따른 대학 고등교육 혁신과 수요에 따라 학문단위 개편은 더 이상 미루기 힘든 시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부산대는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일부 학과 이전에 따른 밀양시 지역경제 및 공동체 위축에 대한 우려를 깊이 인식하고, 이와 관련해 향후 밀양시와 협력해 부산대 밀양캠퍼스 및 지역 활성화와 상생을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부산대는 구체적으로 △밀양시와 공동실무협의체 즉시 가동 △체류형 교육 및 산학협력 확대 △학과 조정에 따른 교육·연구 공백 최소화 △RISE사업 연계 ‘혁신도시형 캠퍼스 발전 모델’ 마련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외·전략부총장을 밀양캠퍼스에 일정 기간 상주시켜 밀양시와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정책변화는 적극 협의를 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부산대는 밀양시의 발전과 밀양캠퍼스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밀양캠퍼스 내 인프라를 구축·확보해 대학생 체류형 프로그램과 지역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초광역 RISE 사업을 기반으로 밀양 특화산업의 성장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스마트팜 혁신밸리와 긴밀히 협력해 산학연 공동 인큐베이팅 허브 구축 등 추진을 모색하고 있다. 밀양캠퍼스-시내 구간 교통망 첨단화 등의 정주 여건 개선에도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부산대 관계자는 “2026학년도 정원조정 및 학사제도 개편은 교육부의 승인사항이어서 사전에 승인 여부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기가 어려웠고, 신청 기한도 촉박해 밀양시와 더 긴밀히 협의할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었다”며 “국립대로서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미래를 선도할 책무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밀양캠퍼스 발전 비전을 조속히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희철 부산닷컴 기자 woohc@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