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부산에 대한민국 새 성장엔진 장착” 포부… ‘부산시장 출마설’엔 여지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4일 전재수 청문회서 해수부 부산 이전론 피력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새 성장엔진 장착”
여야 전문선 공방…여 “자질 충분” 야 “경험 부족”
“세상일 단정 못해” 부산시장 출마설엔 즉답 피해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부산시장 출마설’에 대해선 선거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면서도 “세상일은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전문성 부족 지적 등이 나왔지만 자질이나 도덕성 관련 뚜렷한 쟁점이 없어 무난한 통과가 예상된다.

전 후보자는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북극항로를 통해 현재의 수도권 일극화 체제를 극복하고 행정, 산업, 사법, 금융기능을 집적화시켜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엔진을 장착하겠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을 마중물 삼아 해양수산 관련 기관을 비롯해 주요 해운기업까지 유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해수부 연내 이전을 공식화하는데 더해 해양수산 기관, 해운기업 유치까지 해운 집적화 의지를 드러냈다는 평이다.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이 “세종이나 충청권 의원들 사이 의견이 분분한데 (해수부 부산 이전이 아니라 부산에) 외청을 두자는 의견도 있다”고 지적하자 “부산에 해수부 외청을 두는 것보다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효과가 훨씬 더 크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어 “세종의 행정도시를 완성하는 데 역행을 하거나 국가균형발전의 훼손이 없다”면서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이전해 북극항로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고 선도한다면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부산 이전에 대한 해수부 공무원들의 우려와 관련해서는 “부처 이전 사례를 보고 정부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공직자 정주 여건, 교육, 주택 문제를 챙기고 있다”면서 “부산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실무 협의를 통해 주택 문제도 해소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산 전담 차관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면 수산업이 소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많은 것으로 안다”며 “이런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수산 전담 차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 후보자의 전문성을 둘러싼 공방도 벌어졌다. 강 의원은 “(전 후보자는) 20대, 21대, 22대 (국회에서) 전문성을 살려서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활동을 했다”며 “전문성을 살려서 문체부 장관을 하시지 왜 해수부 장관을 하려고 하시나”고 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의원은 “부산을 대표하는 의원으로서 해양 항만에 대한 상당한 조예를 갖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해양수산 관련 토론회도 여러 차례 주도했으며 법안도 5건이나 제출했다”고 두둔하고 나섰다.

정책 검증이 주가 되면서 같은 날 열린 다른 청문회와는 사뭇 다른 풍경이 그려지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국민의힘 조경태 의원은 “(부산을) 글로벌허브 해양도시로 키우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국가균형적인 시각 동의한다”며 전 후보자에 힘을 실었다.

다만 야당의 잇단 ‘부산시장 출마설’ 추궁에는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강 의원이 “해수부 이전을 업적으로 삼아 부산시장에 출마하려는 것 아니냐. 불과 7~8개월 장관직을 맡고, 공무원들을 부산으로 옮겨 놓고 (부산시장에) 출마한다면 책임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이냐”고 질문하자 전 후보자는 “지금은 선거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 장관이 되면 해야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고 즉답을 피했다. “불출마 선언이냐”는 이어진 질의에는 “세상일을 단정적으로 말씀드릴 수는 없다”고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