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 시대' 직원 800명 품을 첫 둥지는 어디에
임시 청사 후보지 ‘초미의 관심’
부산시, 최근 건물 명단 제출
보안 시설·부산역 인근이 핵심
부산항컨벤션센터·세관 청사
중·동구 원도심 일대 우선순위
공실 빌딩 많은 서면도 포함돼
이재명 대통령의 “해수부 연내 이전을 검토하라”는 지시에 따라 부산에 신축 청사를 마련하기 전까지 사용할 해수부 임시 청사가 어디에 위치할지를 놓고 관심이 커지고 있다. 부산 원도심 건물들이 1순위 후보지로 거론되는데, 부산역과 가깝고 해양수산 관련 기관이 모여 있다는 점에서다. 다음으로 부산진구 서면 일대, 금융 공기업이 밀집한 남구 일대 등도 유력 후보지로 떠올랐다.
부산시는 각 구·군으로부터 800명가량의 해수부 직원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공실 건물 명단을 받아 해수부로 최근 제출했다고 2일 밝혔다.
부산시는 최종적으로 5곳 이상의 건물 명단을 전달했는데, 그에 앞서 부산 16개 구·군은 800여 명의 해수부 직원을 수용할 수 있는 1만 4000㎡가량의 면적이 나오는 관내 건물 공실 현황을 조사하고, 임차 가능한 민간·공공건물 명단을 부산시와 공유했다. 그 이후 부산시와 해수부 직원들이 직접 해당 건물들을 살펴보면서 건물 임대 여부까지 문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수부는 부산에 정식 청사를 확보해 입주하기까지 수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임시 청사 마련에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다는 후문이다.
해수부가 임시 청사의 요건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규모·보안·교통 3가지 조건이다. 수년간 셋방살이를 하며 업무를 봐야하기 때문에 살펴야할 것이 적지 않다.
이번에 마련할 임시청사는 80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갖추면서도, 이동 편리성을 고려해 부산역과 가까운 위치여야 한다. 또한 정부청사라는 점에서 보안 시설도 갖춰져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유력한 지역은 북항과 가까운 중구와 동구 등 부산 원도심이다. 중구는 해양, 수산, 물류 회사가 밀집한 중앙동이 위치해 있다. 동구도 부산역, 북항과 가까워 업무적인 시너지를 내기 좋은 곳이다. 동구에서는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5층·약 1만 1000㎡), 중구에서는 세관이 임시 사용 중인 건물이 후보로 꼽힌다. 또한 중구 중앙동 부산우체국 인근에도 사무실 공실이 있어 이곳도 전달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진구와 남구 역시 유력 후보지로 떠올랐다. 부산진구 서면 일대에는 공실이 있는 민간 건물들이 여럿 있으며 금융 공기업이 밀집한 문현금융단지 등 부산 남구도 임시 청사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부경대 용당캠퍼스와 옛 부산외대 부지는 리모델링 공사가 필요해 일단 후보 건물에서는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임시 청사 후보지로 인접한 두 건물을 임차하는 방식도 고려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부산에서는 8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단독 건물을 찾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인접 건물 2개 동을 사용할 경우 보안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되도록이면 해수부 직원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단독 건물이 우선 고려될 전망이다.
부산시 해수부 이전 지원팀 관계자는 “부산에 약 800명의 규모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건물이 많지 않았다”며 “일단 해수부로 후보지 명단을 제출한 상태고, 해수부와 임시 청사 건물 마련을 위해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지난 1일 ‘해수부 부산 이전 준비 TF’를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 기획단’으로 확대·개편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 기획단은 부산시가 제출한 후보지를 기반으로 임시 청사를 모색할 방침이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