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와서 ‘발등의 불’ 가덕신공항 공기 지연 침묵한 이재명, 왜?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 후보 ‘트라이포트’ 공약 핵심 기반 흔들리는 사안 불구
조기 완공 의지도, 대안 언급도 없어 지역 내 실망감
현 정부·시 ‘무능’ 부각에 집중, 정치적 부담 떠안지 않겠다 셈법인 듯
가덕신공항은 민주당의 ‘지역 랜드마크’, 책임 있는 자세 보여야 지적


[출고복사] 이재명 후보, 해양수도 부산 협약서 서명식 [출고복사] 이재명 후보, 해양수도 부산 협약서 서명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전날 부산 방문에서 ‘발등의 불’로 떨어진 가덕신공항 공기 지연 문제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은 데 대해 지역 내 아쉬움이 적지 않다. 가덕신공항은 시작부터 특별법 제정으로 건설을 확정하기까지 민주당 세력이 주도해왔고, 이 후보가 이번에 부산 공약으로 내세운 ‘육해공 트라이포트’의 핵심 기반이기도 하다.

이 후보는 지난 15일 부산 유세에서 해양수산부와 HMM 부산 이전, 북극항로 개척 등 자신의 지역 공약을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대신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공약인 산은 이전에 대해서는 ‘불가’ 입장을 공식화했고, 부산시가 사활을 걸고 있는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윤석열 정부와 박형준 부산시정에서 추진해온 현안 대신 자신의 어젠더로 부산 민심을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덕신공항 공기 지연은 이 후보가 공약의 ‘출처’를 따지면서 ‘강 건너 불구경’ 할 수 없는 사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가덕도 일대를 공항·항만·철도가 연결되는 육해공 트라이포트로 만들어 부울경을 동북아 물류중심도시로 키우겠다는 구상은 민주당의 오랜 부산 비전이고, 이 후보 역시 이번에 이를 계승했다.

앞서 부산 선대위 차원에서는 이 후보가 이번 방문에서 가덕신공항 공기 지연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는 ‘해법을 적극적으로 찾겠다’는 발언 정도는 나와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다수는 이번 공기 지연 문제는 윤석열 정부 국토교통부와 박형준 부산시정의 부실한 사업 추진으로 빚어진 일인데, 섣부르게 개입할 필요가 있느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한다.

실제 부산 민주당은 “이번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국토부와 박형준 부산시장에게 있다”며 책임자 문책을 요구하는 등 정치적 공세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는 조기 완공의 해법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주도적으로 해법 마련에 나섰다가 정치적 부담을 질 수 있다는 셈법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력 대선후보로서 지역의 시급한 현안인 동시에 자신의 주요 공약의 토대가 되는 사안을 두고 정치적 유불리 때문에 침묵하는 것은 책임 있는 자세가 아니라는 비판이 나온다. 지역 정치권 인사는 “지역의 최대 관심사고 이 후보가 집권하면 당장 직면할 문제인데, 대선에서 분명한 입장을 밝히는 것은 유권자들에 대한 도리”라고 지적했다. 이에 민주당 부산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집권 이후 왜 이런 사태가 일어났는지 살펴보고, 대책을 세운다는 현재까지 정리된 입장”이라며 “다음 번 이 후보의 부산 방문 때 직접 거론할지 여부는 그 때 다시 논의할 문제”라고 말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