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태' MB 언론 특보 출신 '낙하산 사장 선임' 발단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MB 언론 특보 출신 '낙하산 사장 선임' 발단

간판 프로그램 '돌발영상'으로 더 잘 알려진 YTN에 암운이 몰려온 것은 지난 20008년 5월 29일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언론 특보 출신 구본홍 씨가 사장으로 내정되면서부터다.

그 해 7월 사장 임명을 위한 주주총회가 소집됐으나 노조 저지로 무산됐다. 사흘 뒤 용역회사 직원이 동원돼 구본홍 사장 선임이 강행됐다.

8월부터 노조는 사장 출근 저지에 들어갔다. 사장은 보직인사를 단행했으나 노조는 거부했다.

사장은 9월 보도국 기자 인사를 단행했다. 노조는 '보복발령'이라며 파업을 결의했다. 사측은 노종면 노조위원장 등을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하며 맞대응했다. 이어 10월 인사위원회를 열어 6명을 해고하고 6명을 정직하는 등 총 33명에 대한 징계를 단행했다.

지난 2009년 1월, 사측은 노조 간부 등에 대해 5번째 추가 고소를 했다. 급기야 3월 노종면 위원장은 업무방해혐의로 구속됐다.

그 해 8월 구본홍 사장은 사퇴했지만, 배석규 사장 대행이 들어섰다. 배 사장은 YTN에 구본홍 사장이 낙하산으로 올 때 전무 직함을 달고 왔던 YTN 출신 간부였다. 그는 취임 직후 보도국장 3인 추천제를 임명제로 바꾸고,공정방송위원회를 사실상 폐지했다.

2009년 11월, 서울중앙지법은 해고자 6명에 대해 전원 복직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사측이 항소해 2011년 4월 서울고등법원은 해고자 중 3명에 대해 해고 정당 판결을 내렸다. 소송은 현재 대법원에서 진행 중이다.

이런 와중에 신재민 전 문화부차관은 재직 당시 YTN 주식을 매각해 사실상 민영화 하겠다고 발언하는 등 정권 차원의 다각적인 압력이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1993년 보도전문채널로 설립된 YTN의 최대주주는 공기업 한국전력공사가 100% 투자한 한전KDN(주식 21.43%)이기 때문이다.

역시 공기업인 KT&G의 지분도 19.9%이며 한국마사회가 9.5% 우리은행이 7.4%의 지분을 갖고 있다. YTN은 사실상 공적 소유 형태여서 정권이 개입할 여지가 많다. 사원은 자회사 포함 모두 600여 명이다.

심층기획팀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