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해양허브 부산’ 청사진 밝힌 박형준…“해운거래소 설립하고 UN 해양총회 개최”
박형준 부산시장 국회 찾아
해양수도 3대 전략·12개 과제 발표
특별법 지연·가덕신공항 우려 표출
부산시는 1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글로벌 해양허브도시 부산 국회 릴레이세미나'를 개최했다. 부산시 제공
박형준 부산시장이 국회를 찾아 부산을 세계 5위권 해양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글로벌 해양허브 부산’ 비전을 공개했다. 박 시장은 해양수도 조성을 위한 3대 전략과 12개 추진 과제를 제시하고, 국민의힘 부산시당과 함께 정부에 9가지 요구안을 전달했다.
부산시와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19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글로벌 해양허브도시 부산 국회 릴레이 세미나’를 열었다. ‘글로벌 해양허브도시 부산,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로’를 주제로 열린 행사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김도읍 정책위의장, 정동만 부산시당위원장을 비롯해 이헌승·박수영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 부산시 관계자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박 시장은 이날 행사에서 부산을 세계 5위권 해양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를 내세우며 구체적인 전략을 밝혔다. 공간혁신·산업혁신·인재혁신을 축으로 한 3대 전략 12개 과제에는 △북항·다대포항 등 5대 항만 기반 해양 클러스터 조성 △해양 행정복합타운 건립 △해사전문법원·국제해운거래소 설립 등이 포함됐다. 또 △해양 제조업 르네상스 △신산업 육성 △해운·물류 대기업 유치 등 산업 전략과 △부산대·부경대·해양대 등 국립대를 중심으로 한 해양수산 연구 중심 대학원 설립 △R&D 캠퍼스 조성 등 인재양성 계획도 제시됐다.
박 시장은 부산이 오래전부터 해양수도를 향해 준비해온 도시임을 강조했다. 그는 “2000년에 이미 해양수도 비전 선포식을 하고 이후 항만 재개발을 포함해 부산을 글로벌 해양허브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어져왔다”며 “다행히 새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부산을 글로벌 해양허브로 만들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 점에 대해서는 감사하게 생각하고 저희도 그 정책에 적극 동참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박 시장은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입법이 지연되고 가덕신공항 조성 사업도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을 두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부산을 해양 허브로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과 규제개혁 조치들을 담고 있는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을 이유도 없이 발목을 잡고 반대하고 있는 것은 일종의 자가당착이라고 본다”며 “공항도 핵심적인 인프라인데 이 부분도 뚜렷한 이유 없이 지연돼 부산 시민들이 크게 걱정하고 있다. 글로벌 해양허브 도시 조성이 부산만을 위한 일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들고 대한민국을 살리는 전략이라는 점이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알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당 차원에서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제정을 지원하겠다는 점을 재확인했고, 김도읍 정책위의장은 전재수 해수부장관을 겨냥해 정부조직법 개편 없이 해수부 기능 강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정동만 부산시당위원장은 “부산이 제시한 비전과 부산시민의 요청을 정부는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세미나 직후 박 시장과 정동만 부산시당위원장은 △가덕도신공항 조속 건설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통과 △해수부 기능 강화 △HMM 본사 유치 △산업은행 부산 이전 △북극항로 인프라 구축 △해사전문법원 개원 △2028 UN해양총회 부산 유치 △국제해운거래소 설립 등 9개 대정부 건의과제를 발표했다. 이들은 “부산시민의 간절한 염원을 담은 필수 과제”라며 정부와 국회의 신속한 이행을 요청했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해수부 부산 이전에 속도를 내고, 전 장관이 해양 관련 기능을 부산에 집적하겠다며 ‘해양 패키지’ 구상을 공개하는 등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정책을 잇달아 내놓는 흐름에 대한 맞대응 성격으로 풀이됐다. 전 장관과 박 시장이 내년 시장 선거를 두고 경쟁 구도를 형성하면서 북극항로와 해양수도 비전 등 지역의 핵심 어젠다를 선점하려는 움직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