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우지' 라면 36년 만에 귀환… '삼양1963' 공개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신제품을 들고 있는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 삼양식품 제공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소 기름)로 만든 라면을 다시 출시했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열어 60여년 전 출시된 삼양라면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차세대 라면을 공개했다.
이날은 우지 파동이 일어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이다. 삼양식품은 이에 맞춰 신제품을 공개하며 브랜드의 정통성 계승과 기술 혁신의 의지를 내비쳤다.
이번 행사는 삼양식품 창업 역사와 관련이 깊은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진행됐다. 삼양식품 창업자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은 남대문시장에서 '꿀꿀이 죽'으로 끼니를 해결하던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1963년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했다.
새롭게 출시된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국내 최초로 라면을 출시한 1963년을 기념해 이름을 지었다. 삼양브랜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프리미엄 미식 라면이다. 과거 삼양라면 제조 레시피의 핵심이었던 우지를 활용해 면의 고소한 맛과 국물의 깊은 맛을 한층 높였다고 삼양식품은 설명했다.
삼양라면은 1989년 라면에 공업용 우지를 사용했다는 이른바 '우지 파동'으로 시장 점유율이 급락했다. 당시 보건사회부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으며 몇 년 뒤 법원도 무죄로 판결했지만, 삼양식품의 이미지는 심한 손상을 입었다. 삼양식품은 우지 파동 이후 라면에 우지를 쓰지 않고 100% 팜유만 사용해왔다.
삼양식품은 이번 신제품에 1960년대 라면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적용했다. 동물성 기름 우지와 식물성 기름 팜유를 혼합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강화했다. 또 원재료의 풍미를 더욱 살리기 위해 액상 수프와 후첨 분말후레이크를 적용했다. 사골육수로 면에서 우러나온 우지의 풍미를 높여 깊은 맛을 더하고 무와 대파, 청양고추로 깔끔한 뒷맛과 얼큰함을 강조한 국물을 완성했다.
후레이크는 단 배추, 대파, 홍고추로 구성했다. 동결건조공법에 후첨 방식을 적용해 재료 본연의 맛과 향, 식감이 오래 유지되도록 했다. 마트 정상가 기준 1개 1538원으로 농심의 프리미엄 라면인 신라면블랙과 비슷하다.
삼양식품의 브랜드를 담당하는 채혜영 부문장은 “프리미엄 라면에서 1위를 하고 싶다. 국물라면 시장의 점유율도 가져오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어 향후 수출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이날 발표회에 참석해 ‘삼양1963’ 모형에 ‘라면의 귀환’이라고 썼다. 그는 “한동안 금기처럼 여겼던 우지는 삼양라면의 풍미를 완성한 진심의 재료였다”면서 “한 때 오해로 상상하지 못한 큰 어려움 겪은 삼양식품이 이제 K푸드를 상징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진심으로 제 자리를 찾는 상징적인 순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필귀정(事必歸正·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창업주인 시아버님 전중윤 명예회장의 평생의 한을 조금은 풀어드리지 않았나”라면서 눈물을 내비치기도 했다. 그러면서 우지 파동 때 “잘못된 정보와 왜곡된 여론”으로 공장 불이 꺼지고 1000여명의 직원이 회사를 그만두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날 발표회에는 인공지능(AI)으로 재현한 전중윤 명예회장이 식족평천(食足平天·먹는 것이 족하면 천하가 태평하다)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김 부회장은 “삼양1963은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다”며 “한국의 미식 문화를 세계로 전파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이 됐지만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또 한 번의 혁신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