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발 묶인 경관지구 해제 앞두고 유엔기념공원 일대 개발 기대 ‘들썩’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대연4·용당동 26만㎡ 해제 추진
남구청에 규제 완화 주민 문의 ‘봇물’
공원 보존과 개발 ‘균형’ 필요 목소리

부산시가 경관지구 해제를 추진 중인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 일대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시가 경관지구 해제를 추진 중인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 일대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 50년 동안 이어진 건축 규제 완화가 확정(부산일보 10월 28일 자 1면 등 보도)되면서 유엔공원 일대 개발 기대감으로 일대가 들썩인다. 재산권 행사로 낙후된 지역 변화가 예상되면서 공원 보존과 개발의 균형추를 잡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31일 부산시에 따르면 경관지구 해제가 추진 중인 남구 대연동 유엔기념공원 일대 26만㎡에는 이달 기준 약 1500세대 3200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규제 완화 절차가 마무리되면 해당 세대에 대한 재개발·정비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역은 노후 건축물이 밀집해 주거 여건이 열악하지만, 규제 탓에 재개발이 어려워 주민 불편이 컸다. 현재 이 일대는 아파트 4층 높이인 12m로 고도 제한이 걸려 있다. 이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져 재개발 등 건축 행위나 정비 사업도 추진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지난 30일 오후 〈부산일보〉 취재진이 찾은 유엔기념공원 남측 대연4동에는 도로를 따라 낡고 허름한 건물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건물은 대부분 2층이었고 가장 높이 솟은 건물도 4층에 불과했다. 건물 외벽은 오래돼 일부가 떨어져 나갔거나 새까맣게 때가 끼어 있었고, 건물 간판은 낡아서 색이 바랬다.

이곳에는 고물상과 오래된 잡화점, 물류 창고와 화물차 주차장 등이 많았다. 오래된 건물과 뒤엉킨 전선, 낡은 간판들이 어우러져 동네 전체가 낙후돼 보였다. 좁은 골목으로 들어가면 급경사지가 펼쳐져 도보로 이동하기 힘든 수준이었다. 공원과 가까운 곳에는 유엔기념공원 일대 경관지구와 고도 제한이 완화된다는 내용을 안내하는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유엔기념공원 남측에서 부동산을 운영하는 한 관계자는 “대연4동과 용당동 경계 지역이 특히 낙후된 곳인데 지구단위계획을 세워 정비를 진행하면 전반적인 환경이 개선될 것”이라며 “게다가 유엔평화빌리지까지 도입되면 일대 유동 인구가 늘어나 상권도 활성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남구청에도 유엔기념공원 규제 완화 관련 문의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남구청 관계자는 “유엔기념공원 인근에 경관지구가 해제되는 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민원이 하루에 한두 번씩은 꼭 들어온다”며 “예상치 못한 소식에 깜짝 놀란 주민들이 많은 것 같다”고 밝혔다.

주민 숙원이 해결되며 지역 국회의원도 환영 입장을 밝혔다. 박수영(남구) 의원은 “주민 재산권 보호와 평화의 성지 보존이라는 두 가치가 50년 만에 극적으로 균형점을 찾게 됐다”며 “개발 과정에서 유엔기념공원 존엄성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지자체가 엄격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발 과정에서 주민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남구의회 박구슬(대연4·5·6동) 의원은 “경관지구 해제는 그동안 지역 주민이 감내해 온 희생에 대한 보답”이라며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라야 한다. 향후 주민 희생을 강요하는 지구단위계획이 나오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