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외교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인 美 잔류 권해 귀국절차 중단됐던 것”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돼 조지아주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지에서 억류됐던 한국인 300여 명의 귀국 절차가 지연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이 미국에 계속 남을 것을 권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한국인들이 당초 이날 한국으로 출발하려다 돌연 연기된 ‘미국 측의 사정’이 트럼프 대통령의 잔류 권유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면담 과정에서 이 같은 내용이 확인됐다고 설명하며 “오늘 오전 조 장관이 루비오 장관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보니 미국 측 사정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일하면서 미국의 인력을 교육·훈련 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다시 (미국에 돌아와서) 일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고, 미국(루비오 장관)도 우리 의견을 존중해 (구금 한국인이) 귀국하도록 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초 귀국 일정이 돌연 연기된 ‘미국 측 사정’을 놓고 한국인들을 구금시설에서 공항까지 호송하는 과정에서 수갑 등을 채우는 신체적 속박 문제에 대한 이견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 당국의 엄격한 호송 규정에도 우리가 강력히 요청한 대로 수갑 등의 신체적 속박 없이 구금 시설에서 공항으로 호송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한국을 배려한 것은 성공적인 한미 정상회담에서 형성된 정상 간 깊은 유대가 바탕이 됐고, 우리 정부가 구금사태에 대해 일관되게 입장을 밝혀온 결과”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억류된 한국인 300여 명은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 미 이민당국의 불법 체류 관련 단속 과정에서 체포됐다.
이들은 미국 현지시간으로 11일 오전 2~4시께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지에서 전세버스를 타고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으로 이동한 뒤 같은 날 낮 12시께 출발하는 대한항공 전세기 KE2901편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이대진 기자 djrhee@busan.com